수도권 소비자들은 간장을 가장 많이 구입하고 한 가구당 연 7회에 걸쳐 4만3천5원 상당의 장류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8일 수도권 가구의 장류 소비실태를 분석한 ‘장류 소비트렌드 변화와 대응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 동안 경기ㆍ인천ㆍ서울 등 수도권 소비자 667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종류별 연평균 구매횟수는 간장이 2.2회, 고추장 2회, 쌈장 1.1회, 된장 0.9회, 청국장 0.6회 순이다. 전체 조사 가구 중 장류를 구매한 가구는 97.8%였으며 이 중 간장이 84.3%(복수응답), 고추장 74.8%, 쌈장 49.3%, 된장 40%, 청국장 26.4% 등이다.
연평균 구입액은 고추장이 1만5천262원으로 가장 높았고, 간장 1만5천142원, 된장 6천16원, 쌈장 3천559원, 청국장 2천779원 순으로 나타났다.
한 가구당 장류 구입액은 최근 들어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 2010년 4만1천888원이던 장류 구입액은 2012년 4만4천885원으로 7.2% 증가했으나 2015년 4만1천237원으로 8.1% 감소했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외식 증가로 가정에서 조리와 식사가 줄어드는 것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김순재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장은 “장류의 지속적인 소비 유지와 장류 시장 성장을 돕기 위해서는 소규모 가구를 대상으로 한 소포장 제품과 프리미엄 제품 출시 등의 전략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며 “장류 특유의 냄새가 덜 나고 연간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류 제품을 개발하는 한편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통 장 담그기 등 체험과 홍보행사를 개최해 전통장류 소비를 촉진시키겠다”고 말했다.
유병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