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코앞 경기꿈의대학 안전대책 ‘비몽사몽’

‘야자’ 대안추진 3개월도 안남았는데
도교육청 안전국 취지조차 모르고
각 부서별 안전대책 협의도 없어

경기도교육청이 야간자율학습 폐지 대안 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기꿈의대학’이 오는 4월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으나 가장 중요 한 학생 안전 대책이 아직까지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 이 도교육청 내 각 부서별로 협의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정작 학생들의 안 전은 뒷전이라는 지적을 사고 있다. 

12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시행되는 ‘경기꿈의대학’은 도내 고등학 교에서 이뤄지는 야간자율학습 대신 주변 대학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강의를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에 도교육청과 업무협약(MOU)을 체결 한 80여 곳의 대학에서 개설되는 강좌는 고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정규수업시간이 끝난 오후 7∼9시 각 대학 강의실에서 진행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정책 시행이 3개월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대학교를 오가는 학생들의 통 학로에 대한 안전 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학생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안전 대책을 총괄하는 도교육청 안전국은 ‘경기꿈의대학’의 취지조차 모르는 것으로 확인됐고, 내부 협의 역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교육청 안전국의 한 관계자는 “못해도 오는 3월이 돼야 안전 대책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며 “남부청사와 북부청사 간 심도있는 논의를 하지 못한 것도 사실인데다 어느 부처에서 이를 담당하는지조차 제대로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해당 업무를 맡은 도교육청 남부청 사 교육국은 지난해 10월 북부청사 안전국에 ‘경기꿈의대학’ 안전 대책 마련을 요구 했으나 안전국은 현재까지 대책 마련에 나서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를 방증하듯 이 달 안전국에서 발표한 ‘2017 학생안전종합 계획’에는 ‘경기꿈의대학’과 관련된 등하굣길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다. 

실무진에서는 “대학을 오가는 길이 통학로 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개념이 애매모호 하다”면서 “대학 자체가 교육부 담당인 점 또한 모호한 개념으로 작용하는 요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 도교육청과 업무협약을 맺은 대학 중 일부는 벌써부터 학생 안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내 A대학교 관계자는 “도교육청 관계자와 대학 실무진들이 함께 안전 대책을 논의한 자리는 있었지만 이후 안전 대책과 관련해 어떠한 설명이나 지침이 내려진 것이 없다”면서 “대학도 학생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도교육청 차원에서 안전 매뉴얼이 하루 빨리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안전국 관계자는 “‘경기꿈의대학’과 관련된 학생 안전 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규태·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