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 1년 공동위원회… 양 도시 교류 확대방안 집중 논의
한-중FTA(자유무역협정) 체결 1년을 맞아 처음으로 열린 양국 공동위원회에서 인천과 중국 웨이하이가 추진하는 지방경제협력사업 확대방안이 주요 안건으로 논의됐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중국 베이징에서 제1차 한-중 FTA 공동위원회가 개최됐다. 양국은 지난 2015년 12월 20일 발효된 한-중FTA 이행 1년을 평가하고 산하 이행위원회별 보고 및 평가, 협정이행에 따른 애로사항 교환과 양국 통상현안 등에 대한 심도있는 의견을 주고 받았다.
특히 이 자리에서는 앙국 지방경제협력 대상지인 인천-웨이하이시 간 교류 활성화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양 국은 인천과 웨이하이시를 지방경제협력 시범지역으로 지정, 교역과 투자, 통관 간소화 방안 등의 시범사업 실시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웨이하이시 중심지에 인천(IFEZ)관을 개관하며 인천의 경제무역 대표처 기능을 강화한 인천시의 노력이 지속적인 성과를 거둘 가능성이 커졌다. 시는 인천관을 통해 중국진출 플랫폼 기능 수행의 교두보를 확보, 적극적인 대중국 교류업무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시는 웨이하이시와 무역·전자상거래·과학·관광·체육 등 7대 분야 41개 핵심과제를 선정하고, 분야별로 세부협약을 체결해 시범 협력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교류협력사업에 따라 양 도시는 지난해 1월 전자상거래 발전을 위한 전략협의 MOU 체결, 3월 보건분야 상호교류 협약체결 등을 진행했다. 또 6월에는 양 도시 공동으로 국제요트경기대회를 열기도 했다.
우리 측은 또 최근 중국의 수입규제조치, 통관애로사항 등의 비관세장벽 문제를 적극 제기했다. 여기에는 최근 중국이 단행한 한국산 화장품 반송조치에 대한 내용도 담겨있는 것으로 확인돼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사드 여파로 대중국 수출에 비상이 걸린 인천시 화장품 공동브랜드 ‘어울(Oull)’과도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어울의 총매출 대비 중국 시장 비중은 약 60%에 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중국 충칭번성기계수출입유한공사와 100만불 규모 수출계약을 체결해 중국 서부내륙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한 만큼 중국과의 관계회복이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시의 한 관계자는 “올해 대외환경이 불확실해 중국과의 우호적인 비즈니스 환경이 위축되고 신규사업 추진 보류의 우려가 있지만 시는 중국 내수시장 선점기반 마련을 적극 준비하고 있다”며 “지역경제협력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해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유제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