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이 지역박물관 활성화를 위해 2012년부터 진행하는 ‘K-Museums 지역순회전’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이 전시에는 조선시대 경기북부의 중심도시였던 양주목(楊州牧)의 생활상과 발달된 장시(場市)를 보여주는 옛 양주목 지도, 양주종가 전승 유물, 양주별산대탈 등 유물과 사진, 영상 등 139건 328점의 전시물이 선보이고 있다.
공동기획전은 1부 양주에 들다, 2부 양주에 살다, 3부 양주에 모이다로 구성돼 있으며 조선시대 경기북부의 중심도시인 양주의 역할과 양주민의 생활모습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는 겸재 정선의 손자인 정황이 양주에 있던 정선의 묘소 부근(현 도봉구 쌍문동 일대) 전경을 화폭에 담은 양주송추도(楊州松楸圖ㆍ겸재정선미술관 소장)를 비롯해 양주목사가 양주목사가 가져야 할 자세를 일깨우기 위해 양주관아지 정자 터 바위에 새겼다는 관민동락(官民同樂ㆍ양주회암사지박물관 소장)을 볼 수 있다.
이밖에 양주에 전승되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양주별산대놀이 중 제6과장 ‘취발이’의 연행 장면을 그린 김수남의 작품(국립민속박물관 소장)도 감상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계기로 양주회암사지박물관이 지역문화 연구의 중심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양주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의 향유 기회가 주어지기를 기대한다”며 시민들의 많은 관람을 당부했다.
양주=이종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