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적 더 좁은 성남의 절반 수준
市 “예산 확보해 추가 설치 노력”
고양시가 자동차 배출가스 감축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지만, 정작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소가 부족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19일 고양시에 따르면 시는 현재 ▲마두역 측정소(일산동구 마두역 중앙로 녹지대) ▲행신동 측정소(덕양구 행신배수지) ▲식사동 측정소(일산동구 양일초등학교 옥상) ▲신원동 측정소(신원도서관 옥상) 등 총 4개의 대기오염 측정소를 운영 중이다.
이와 관련 시는 덕양구와 일산동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기오염 측정소가 없는 일산서구 지역의 대기오염 측정을 위해 예산 2억 원을 투입해 대화동주민센터 옥상에 ‘대화동 대기오염 측정소’ 설치를 추진, 환경전문가들이 위치적정성 검사를 마무리하고 내달 중 공사를 발주할 예정이다.
반면, 신도시 개발이 한창인 덕양구 삼송동과 지축동, 공장이 밀집한 덕양구 도내동 등의 지역에는 대기오염 측정소가 없어 미세먼지 측정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현재 삼송동에는 2만3천여 세대 규모의 삼송지구가 개발 중이고, 내년 입주 예정인 지축동에는 8천여 세대 규모의 지축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또 도내동에는 대형 시멘트 관련 공장 2~3곳이 밀집해 있다.
하지만 지금 상태로서는 해당 지역의 기존 거주자와 새로운 입주자들은 대기오염 정도를 사전에 알 수 없기 때문에 고스란히 미세먼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고양시의회 환경경제위원회 김혜련 의원은 “비슷한 인구 규모의 성남시보다 시 면적이 넓은데도 대기오염측정소는 절반 수준”이라며 “환경관리공단의 대기오염 측정 이동식 차량을 활용해서라도 대기 오염도 측정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관내 모든 지역의 대기오염을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소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라며 “측정소 설치에 필요한 추가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고양=유제원ㆍ김상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