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안전 도시위해 추진중인 종합안전체험관 건립 차질

인천시가 올해 상반기 중으로 확정 짓기로 한 종합안전체험관 건립사업(본보 2016년 12월 29일자 3면)이 정부 정책과 엇박자를 보이며 차질이 예상된다. 체험관 운영방식은 물론 건립에 필요한 사업비 확보도 쉽지 않아 인구 300만 대도시에 걸맞은 종합안전체험관 조성 사업 구상마저 불투명해지고 있다.

 

22일 시에 따르면 국민안전처는 전국적으로 안전 체험교육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면서 현재 운영 중이거나 건립 중이 아닌 전국 8곳에 추가로 안전체험관을 건립하기로 했다. 시도 지난해 10월 인천지역 지진 방재대책 브리핑을 열어 오는 2019년까지 안전체험관을 건립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사업 시작단계부터 정부와 시의 안전체험관 건립에 대한 시각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시의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

 

정부가 2단계(2017~2019년, 2018년~2020년)를 거쳐 신규 안전체험관 건립을 계획했는데, 인천지역은 1단계가 아닌 2단계 사업으로 분류된 탓에 올해 사업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항공·지진 체험관, 어린이교육관, 4D 영상관을 갖춘 사실상의 종합안전체험관 건립을 계획한 시의 구상과 달리 항공 교통운항재난 특성화 분야로 한정된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인천의 특성이 반영될 경우 시민들보다 인천공항 방문객 위주의 특화 체험관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아 실제 체험할 수 있는 재난 컨텐츠가 한정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국민안전처의 한 관계자는 “세계적인 인천공항이 위치한 지역 특성을 반영해 항공분야 체험 컨텐츠를 주로 운영하는 특화 체험관으로 계획 중”이라며 기존 종합안전체험관과의 차이를 인정했다.

 

사업비 확보도 쉽지않다. 국민안전처가 지자체별로 총사업비의 50% 수준인 100억원의 국비를 지원 가능 상한선으로 정하고 있어 당초 340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책정한 시의 구상은 축소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렇다보니 서구 아시아드주경기장, 루원시티 사업지구 내 공원부지 등을 체험관 건립대상으로 한 시의 행정절차는 현재 사실상 올스톱 된 상태다.

 

결국 오는 2019년까지 5천850㎡ 부지에 지상 3~4층(2개층) 규모로 안전체험관을 건립하겠다는 시의 구상은 발표 3개월만에 전면 재수정될 처지에 놓였다.

 

시의 한 관계자는 “시의 재정여건상 수백억원의 건립비를 부담하기가 쉽지 않아 대형 체험관 건립을 추진하기는 쉽지 않다”며 “재원마련 방안과 규모 축소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연선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