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시대… 맞춤 농정사업
식탁에 안심 농산물 공급 집중
경기도는 전국에서 유통되는 농산물의 30~40%가 몰려 있는 요지다. 그만큼 농산물 원산지나 유통기한을 속여 소비자에게 부당하게 판매하는 사례도 많을 수밖에 없다.
요즘처럼 명절을 앞두고 농산물 유통량이 부쩍 늘어나는 시기에는 더욱 그렇다. 수도권 농식품 부정유통방지를 책임지고 있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 직원들이 숨 쉴 틈조차 없이 바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재현 농관원 경기지원장은 “새해에는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수도권 지역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리더로서 한발 더 뛰는 모습을 보이겠다”며 새해 포부를 밝혔다.
-지난 한 해에 대한 소회와 올해 전반적인 로드맵이 궁금하다.
2016년은 쌀값 하락과 조류인플루엔자(AI) 탓에 농림축산식품부 공직자로서 책임을 통감하는 한 해였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와 농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올해는 농업경영체 등록과 직불제 이행점검 사업에 대해 드론을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을 시범 도입할 계획이다. 또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농정사업과 각종 직불제 사후관리 등을 실시, 정보화시대에 발맞춘 지원 방안들을 강구해 나가겠다.
-경기지원이 가장 중점적으로 진행할 사업은.
안전한 농식품을 공급하고 부정유통을 방지하는 게 최우선 목표다. 먼저, 수도권에 공급되는 농산물 1만5천여 건에 대한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하는 한편 수출 농산물과 로컬푸드에 공급되는 농산물에 대해서는 분석결과를 공표해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 학교 급식에 사용되는 식품은 식재료 우수관리업체를 지정해 특별 관리할 것이다. 아울러 수입 농산물의 단속을 강화하고 양곡표시관리 등에도 힘쓰겠다.
-올해부터 원산지 관련법이 강화되는데.
오는 6월부터 원산지 표시 등을 위반할 경우 받게 될 벌칙이 크게 강화된다. 원산지를 둔갑해 판매하는 경우 형량 하한제가 도입되고, 벌금 외에도 위반금액의 최대 5배까지 과징금(최대 3억 원)을 부과한다.
상반기에는 이런 사실을 중점적으로 홍보ㆍ계도하고 하반기부터 철저한 단속을 통해 원산지 위반 사례가 근절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최근 원산지표시 위반 수법이 지능화되고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이뤄지는만큼 경기지원도 대형 위반사범들을 적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유병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