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30억원→작년 757억원
갈수록 눈덩이… 특단대책 시급
이날 행사에는 김창곤 민노총인천지역 본부장을 비롯한 1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인천지역 체불임금은 2014년 630억원에서 2015년 679억원, 작년 기준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757억원에 달하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노동부는 임금체불에 대한 강력한 징벌적 배상제도 도입과 이행강제금 법률화, 잘못된 하청구조 개선, 사업주 인식개선 등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고용노동부는 올해도 역시 근로감독 강화, 체당금 규정 일부 수정, 상습적인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 공개 등의 대책을 내놓았지만, 매년 물레방아처럼 똑같은 대책만을 되풀이할 뿐”이라며 “체불임금 노동자 대부분은 체불임금을 받기 위해 동분서주할 시간조차 없는 만큼, 발생한 체불임금에 대해서는 까다로운 절차 없이 국가가 즉각 보전해 주는 방안 등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금체불은 대부분 다단계 하청 등 중소영세업체에서 발생하고 건설산업이 대표적인데, 건설 현장에는 다단계 하청구조가 남용되고 있다”며 “원청이 기침하면 하청은 몸살을 앓는 허약한 하청구조를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하며 체불임금에 대해서는 원청의 책임을 묻는 제도도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이인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