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지수별로 혼조세를 나타냈다.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 종가를 기록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13포인트(0.04%) 하락한 2만93.7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99포인트(0.09%) 낮은 2천294.6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60포인트(0.10%) 높은 5천660.78에 장을 마감했다.
3대 지수는 이날 혼조세로 출발해 장중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서기도 했다. 최근 급등에 따른 부담과 경제 지표 실망 등이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이 0.9%가량 내리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소비와 금융, 산업, 소재, 부동산 등이 내렸고 기술과 통신 등은 올랐다. 시장은 경제 지표와 기업실적 등을 주목했는데, 이날 발표된 성장률 등 경제 지표는 대체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미 상무부는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가 연율 1.9%(계절 조정치)를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조사치 2.2%를 밑돈 것이다. 지난해 3분기 GDP 성장률 3.5%는 수정되지 않았다. 2016년 연간 경제성장률은 1.6%로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모습을 나타냈다. 미국 성장률의 역사적 평균은 3.3%이며 11년째 연간 성장률이 3.0%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한편, 4분기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연율 2.2% 올랐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연율 1.3%로 연준의 목표치인 2%를 하회했다. 작년 12월 미국의 내구재 수주 역시 전월비 0.4% 감소했으며, 이는 변동성이 큰 국방 자본재 수주가 33.4% 급락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미시간대가 집계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1월에 98.5로 전망치를 상회하는 등 트럼프 취임에 따른 재정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지수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개별주로는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이 4분기 예상을 하회한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1.4% 내렸고 스타벅스는 올해 매출 전망치를 하향하면서 주가가 4% 떨어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