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강릉, 수서~광주 적극추진
지역발전·관광활성화 효과 기대
광주시가 경기 광주역을 경유하는 송도~강릉 고속화철도사업과 수서역~모란역~삼동역을 연계하는 수서~광주 복선전철사업 등 철도사업 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 2015년 철도물류팀을 신설하고 경강선(성남~여주 복선전철), 수서~광주 복선전철 사업을 적극 추진해 왔다.
송도~강릉 고속화철도사업은 인천(송도)~서울(삼성)~광주 연계노선이다. 경강선 시스템 개량을 통한 고속화, 여주~원주 노선 복선화 등을 포함하는 총연장 255㎞(신설 88㎞, 기존노선 개량 167㎞)를 위험분담형(BTO-rs)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한다.
주요 경유노선, 사업추진방식 등 기본계획은 이미 검토를 완료한 상황이다. 경기 광주역에서 서울 강남권으로 10분, 인천 30분, 강원 60분대 접근으로 수도권 동남부 주요 교통거점지역으로 광주시의 위상이 한 단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수서~광주 복선전철 사업 추진을 위해 한국개발연구원(KDI)에 교통수요 제고 요청 및 관련 자료 협조 등 사업 추진을 위해 적극 노력해 왔다.
내륙철도망 시발점 역할로 이미 개통된 경강선과 중부내륙선(이천 부발~충주~문경~점촌~김천), 남부내륙선(김천~진주~거제) 등과 연결되는 남북 간선철도망 완성과 수인선, 월곶~판교, 여주~원주, 원주~강릉 철도가 연계되는 동서 간선철도망이 완성되면 서울 강남권 및 강원권, 중·남부내륙 접근성 강화, 내륙지역의 경제발전과 관광활성화 수혜, 국토 물류중심축 다변화에 따른 신 물류축 수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억동 광주시장은 “2030년 도시기본계획 인구 47만의 자족 도시 광주시가 수도권 교통거점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통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