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징용 노동자상’ 인천에 세워진다

▲ 1일 오전 65개 인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강제노역 노동자 상 건립 추진위원회 회원들이 2일 인천시 부평구 부평공원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추진위는 올해 동상 제막을 목표로 강제노역 노동자 상 제작·설치비용 1억원을 거리 모금과 단체의 기금 후원, 스토리 펀딩등으로 모금할 계획이다.장용준기자
▲ 1일 오전 65개 인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강제노역 노동자 상 건립 추진위원회 회원들이 2일 인천시 부평구 부평공원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추진위는 올해 동상 제막을 목표로 강제노역 노동자 상 제작·설치비용 1억원을 거리 모금과 단체의 기금 후원, 스토리 펀딩등으로 모금할 계획이다.장용준기자
일제 강점기 강제 동원된 노동자를 기리는 ‘강제 징용 노동자상’이 인천에 세워진다.

 

민주노총 인천본부와 인천지역 65개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인천 강제 징용 노동자상 건립추진위원회’는 1일 인천 부평구 부평공원에서 발족식을 가졌다.

 

강제징용 노동자상은 지난해 8월24일 일본 단바 망간광산에 처음 세워졌으며, 국내에는 아직까지 건립된 적이 없다.

 

추진위는 오는 4월까지 노동자상 제작·설치비용 1억 원을 시민 모금으로 모아 올해 안에 건립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달 중 인천에서 이뤄진 일제의 강제 동원 역사에 관한 강연회를 2차례 가질 계획이며, 3월에는 인천 지역 강제동원 피해 현황 발표회도 열 예정이다.

 

강제 징용 노동자상은 인천 평화의 소녀상이 있는 부평공원에 건립한다.

추진위는 이날 발족식에서 “인천은 일제가 전쟁 수행을 위해 군수기지로 만든 도시이자 학생부터 성인까지 모두 거대한 군수공장을 만들기 위해 동원된 지역”이라며 “올바른 과거 청산과 일제의 강제동원 문제를 여론화하고자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건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강제 동원 문제와 위안부 합의 무효 운동을 연계해 역사바로세우기 운동과 친일청산 운동의 흐름을 형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