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여야 정치권은 보수와 중도에 터를 잡은 반 전 총장의 지지층을 최대한 흡수해 지지세를 확산하는 것이 관건이 됐다. 당장 범여권은 반 전 총장과의 연대·연합을 통해 범보수 단일후보를 내세우겠다는 전략을 전면 재수정하는데 부심하고 있다. 또 '반기문 대체제'를 최대한 빨리 찾아내 유력후보를 키우는 것이 급선무가 됐다.
민주당은 반기문 전 총장이 빠진 대선판에서 문 전 대표의 대세론이 공고해질 것이라는 관측 속에 2중(二中) 구도를 형성한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의 추격전이 맹렬하게 전개될 것이라는 관측이 일반적이다. 안철수 전 대표가 포진한 국민의당은 반패권을 기치로 야권 내 반문(반문재인) 진영을 최대한 규합해 세력을 확대한 뒤 자력갱생의 길을 걸으며 반전의 기회를 모색할 전망이다.
새누리당과 바른정당 등 범여권은 반 전 총장의 낙마에 망연자실할 시간도 잠시, 자체 대선후보 선출 프로세스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는 등 '보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사활을 건 경쟁에 돌입했다. 범여권 주자군이 새누리당의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바른정당의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 등 사실상 3파전으로 좁혀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어서 양당 간 신경전은 한층 거칠어지고 있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