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농식품 수출 목표액을 지난해 수출액보다 20% 증가한 15억 달러(1조8천억 원)로 설정하고 수출확대 전략을 마련했다.
6일 도에 따르면 도내 농식품 수출실적은 2015년 10억 달러, 2016년 12억5천 달러로 도는 지속적인 수출 효과를 달성할 계획이다.
도는 올해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농식품 수출 전략품목 육성 ▲해외 마케팅 강화 ▲협업체계 구축 등을 주요 추진전략으로 수립하고 총 14개 사업에 82억 원을 지원한다.
해당 사업은 농식품 수출물류비 지원, 신선농산물 수출단지 시설 개선 등 전략품목육성 부문 5개, 해외 판촉전 등 해외 마케팅 강화 부문 5개, 수출업체 현장 컨설팅 등 협업체계 구축 부문 4개로 구성된다.
도는 우선 신선원예농산물 수출 전문단지와 수출지원 업체ㆍ농가를 확대해 수출 전략품목을 육성한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14개 수출단지에서 생산된 신선 원예농산물 수출품목은 배ㆍ포도ㆍ장미 등 7개로 올해 토마토ㆍ딸기 등을 추가해 총 20개 수출 전문단지에서 12개 품목을 육성할 계획이다.
또 김, 쇠고기 등 수출액 100억 원 이상의 품목을 지난해 13개에서 올해 20개로 확대하고 간장, 김치 등 10억 원 이상의 수출품목도 34개에서 50개로 늘린다. 특히 수출액 1천만 달러 이상의 수출업체 10개와 100만 달러 이상의 수출업체 20개소를 우수 수출업체로 선발해 ‘경기도 농식품 수출탑’도 시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기 농식품의 해외 판촉ㆍ홍보를 강화하기 위한 박람회 참여 확대, 신규 시장 개척 등도 추진된다.
우선 신선농산물 10개, 가공식품 20개 등 총 20개 품목을 수출확대 품목으로 지정하고 해외 대형마트, 백화점 등에서 총 9차례의 판촉ㆍ홍보전을 추진한다. 이 밖에도 ‘경기도 농식품 협의회’구성, 도 농식품 수출 전문기관인 ‘농식품유통진흥원’발족 등을 통해 수출 협업 체계를 세운다.
문제열 경기도 농식품유통과장은 “미국 신정부 출범, 일본 경지 소폭 개선, 중국 수출확대요인 등 국가별 수출 여건을 분석해 도의 농식품 수출 확대를 전략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