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낳거나… 셋 낳거나 ‘둘째’ 출산 큰 폭 감소세

18년새 출생아수 감소 가장 큰 영향

제목 없음-1 사본.JPG
국내 출생아 감소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출산 순위는 ‘둘째’인 것으로 분석됐다. 출산 가능 연령대 여성이 감소하면서 첫째나 셋째로 태어나는 아이도 많이 줄었지만, 둘째가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인구 및 출산 동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출생아 수는 지난 1997년 66만8천 명에서 2015년 43만8천 명으로 18년 사이에 34.4%(23만 명) 감소했다. 

출산 순위별로 보면 첫째 아이는 29.2%(9만4천 명) 감소했고, 둘째 아이는 40.9%(11만5천 명), 셋째 아이 이상은 34.3%(2만2천 명) 줄었다. 둘째를 낳지 않으려는 경향이 출생아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해마다 달라지는 가임여성인구(15∼49세) 규모를 고려해보면, 일반출산율(가임여성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은 지난 1997년 50.8명, 2015년 34.4명으로 32.3% 떨어졌다. 

출산 순위별 일반출산율은 첫째 아이 26.9%, 둘째 아이 39.0%, 셋째 아이 이상 32.2% 각각 감소했다. 가임여성인구 변화를 고려해도 둘째 아이가 평균 이상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아 감소는 결혼 건수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1997∼2015년 가임여성인구는 3.1% 줄어들었는데 출생아 감소폭은 34.4%에 달했다. 같은 기간 여성 초혼 건수도 34.9% 감소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삼식 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고령화대책기획단장은 “앞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는 더 늘어나고 이에 따라 만혼 경향도 강해질 수 있다”며 “30대 이상에서 결혼하고 다자녀를 출산해도 장애가 없도록 해야 출산율을 만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선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