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연 경기복지재단 정책실장은 13일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열린 ‘경기도 복지 균형발전 기준선 도달을 위한 맞춤형 전략과제 수립을 위한 도민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도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보호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기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복지 균형발전 기준선은 도민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부응하고 31개 시ㆍ군 간 복지격차를 해소해 고른 형평성을 유도할 수 있는 기준선을 말한다.
김 실장은 “중앙정부가 정한 복지 기준은 경기도의 사회경제적 여건을 반영하지 못하며 현재 도내 내부적으로도 31개 시ㆍ군 간 복지격차가 심각한 편”이라며 “▲소득 ▲일자리 ▲주거 ▲노인돌봄 ▲장애인돌봄 ▲건강 ▲복지인프라 등 7개 영역으로 구분해 복지 균형발전을 위한 기준선을 설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실장은 “절대빈곤선 이하이면서도 정부 기준에 못 미쳐 복지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가구가 도내 광범위하게 존재한다”며 “경기도 와 31개 시ㆍ군의 여건에 맞는 별도 기준을 마련해 이같은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기본생활 보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양복완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는 “모두의 노력으로 마련된 기준선인 만큼 오늘 발표된 전략사업들이 실제 집행되는 과정에서 도와 의회, 31개 시ㆍ군 그리고 복지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경기도민의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 복지 균형발전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양복완 대표이사를 비롯, 경기도의회 문경희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신낭현 도 보건복지국장과 사회복지현장 관계자 등 총 100여 명이 참석했다.
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