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해외 결제 카드 사용액 사상 최대…16조5천900억 원 수준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이 외국에서 카드로 결제한 금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외국인이 사용한 카드 금액도 증가하긴 했으나 메르스 사태 이전 수준까지 회복하지는 못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6년 중 거주자의 카드 해외사용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내국인이 해외에서 카드로 사용한 금액은 143억 달러로, 2015년(132억6천400만 달러)보다 7.8%(10억3천600만 달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연간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치이며 2011년(86억1천900만 달러)와 비교하면 5년 사이 65.9%(56억8천100만 달러)나 증가한 금액이다. 연평균 원/달러 환율 1천160.4원으로 환산하면 약 16조5천900억 원이다.

 

해외 결제 카드 사용액이 늘어난 것은 해외여행객이 증가한 것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관광공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로 출국한 내국인은 2천238만 명으로 전년(1천931만 명)보다 15.9% 늘었다. 

또 해외에서 카드를 점점 많이 쓰는 경향도 결제액 증가에 한몫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쓴 카드는 모두 4천692만1천 장으로 2015년보다 22.1% 많아졌다. 카드 종류별로는 신용카드 사용액이 102억6천800만 달러로 8.5%, 체크카드 사용액이 36억3천100만 달러로 12.4% 각각 늘었다. 신용카드 사용액이 100억 달러를 넘긴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처럼 해외에서 결제한 카드 사용액의 증가세는 내수에 대한 우려와 맞물려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지출 항목에서 민간소비 증가율은 2.4%로 조사됐다. 해외에서 카드로 쓴 사용액의 증가율이 국내 민간소비 증가율의 3배를 웃돌았다는 뜻이다.

 

반면, 지난해 외국인이 국내에서 카드로 쓴 금액은 107억800만 달러(약 12조4천억 원)로 전년보다 6.6%(6억6천만 달러) 늘었다. 

2015년 메르스 사태로 급감했던 외국인 관광객이 다시 회복된 영향이 크지만, 2014년에 외국인이 국내에 쓴 카드 사용액(115억7천만 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정선영 한국은행 자본이동분석팀 차장은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과 일본인 등 해외관광객이 크게 늘었지만, 1인당 씀씀이는 줄어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유병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