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제 ‘엉터리’… GPS 미장착 차량 ‘들락날락’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구제역이 발생한 연천 젖소농장이 부적합한 소독제를 사용하고,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할 GPS조차 등록하지 않은 차량이 드나들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 때 소독제 및 GPS와 관련한 방역 당국의 부실한 관리가 지적됐음에도 또다시 같은 문제가 반복된 셈이다.
21일 위성곤 국회의원(더민주)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구제역 발생농장 사용소독제 내역’에 따르면, 연천 젖소농장에서 사용한 소독제는 구제역이 아닌 AI예방용 소독제였으며 이마저도 AI예방용 소독제 효력검사에서 불합격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저온에서 효과적인 산화제 계열의 소독제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산화제의 경우 산성제 등에 비해 소독제가 얼기 전에 빨리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연구결과 등이 나왔기 때문인데, 연천 젖소농장에서 사용한 소독제는 계면활성제와 산성제 계열로 AI소독제 검사에서 불합격한 제품이었다.
또 연천 젖소농장에는 GPS(차량무선인식장치) 미등록 차량도 수차례 출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축전염병예방법상 구제역이나 AI를 전파시키는 주요 수단인 축산차량이 농장에 출입하려면 의무적으로 등록하고 GPS를 장착해야 한다.
농장을 출입했던 차량의 이동경로를 GPS를 통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해 필요한 방역조치를 실시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연천 젖소농장에는 2차례 가량 미등록 차량이 드나들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자체는 효율적 차단방역을 위해 가축차량의 GPS 등록·장착 여부 등을 지도·감독해야 하지만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구제역이 발생한 충북 보은과 전북 정읍 등 다른 지역 6개 농장들도 부적절한 소독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GPS 미등록 차량이 출입한 농장도 2곳이 있었다.
위성곤 의원은 “AI 사태 시 이미 소독제 및 GPS와 관련한 방역 당국의 부실한 관리가 지적돼 왔음에도 이러한 문제가 구제역에서도 반복되고 있다”며 “지자체에만 책임을 미룰 것이 아니라 정부가 직접 이 문제를 점검하고 개선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병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