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기술 이용 저감방안 연구 보고회
경기도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교통과 생활, 산업분야로 나눠 종합 대책을 제시했다.
21일 경기도는 지난해 8월부터 약 5개월간 연구용역한 ‘적정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방안 연구’ 보고회를 경기연구원에서 열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경기도에 적용 가능한 미세먼지 저감 적정기술 선정 및 의견들이 제시됐으며 분야는 교통, 생활, 산업 분야로 나눠 발표됐다.
먼저 교통분야에서는 ‘자전거친화형도시’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같은 자전거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등록제’와 연계한 GPS 자전거추적기 보급 ▲스마트 자전거 보관함 ▲P2P 자전거공유시스템 ▲폐자전거 재활용 실용자전거 ▲이-바이크(E-Bike) 등 5가지의 실행방안이 제시됐다.
특히 이-바이크의 경우 도내 오토바이 32만7천288대 중 배달, 택배에 이용되는 오토바이를 전동바이크, 전동삼륜차로 전환하는 사업으로, 이를 통해 도시소음 및 대기오염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생활분야는 도내 미세먼지 배출량이 24.8%에 달해 미세먼지 저감 대책이 필요한 분야 중 하나다. 세간에 알려진 것과 달리 고기구이가 차지하는 미세먼지 배출량은 1.4%로 미미한 수준이며 오히려 농업잔재물 소각이 10.9%, 숯가마 7.8%로 생물성연소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기술 수용과 기존 화석, 나무 연료의 ‘화목난방장치’ 개선 등 2가지 방안이 제시됐다.
이중 미세먼지 배출이 가장 많이 유발되는 농업잔재물 소각의 경우 ‘농업부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고효율보일러 및 열병합장치’ 개발 및 보급, 배기정화기를 부착하는 ‘중소형 나무가스화 열병합발전장치’ 보급 등 에너지기술로 해결한다는 해석이다.
또 미세먼지 배출이 가장 심각한 산업분야는 적정기술 소형 저감장치를 설치해 대기오염, 미세먼지를 저감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대기오염 정화장치를 소형화시켜 경제적인 가격으로 더 많은 곳에 설치 확장을 하는 방안이다. 특히 소형 저감장치는 자동차 배기부품, 주방후드, 작업장용 청소기 등에도 응용이 가능해 활용도가 높다는 평가다.
도 관계자는 “오늘 발표된 연구용역 결과와 전문가와 담당 공무원들이 제시한 의견을 합해 최종적으로 정리를 할 것”이라며 “대체적인 아이디어는 이번 연구용역에서 나온 상태라 한 번 더 검토 후 실현가능성이 있는 것들은 도정에 최대한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공장 등 도내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근본 해결을 위해 올해 50억 원을 들여 ‘중소영세사업장 미세먼지 저감 개선사업’을 오는 3월부터 추진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도내 중소영세사업장에 보조금을 지원해 오염물질 방지시설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