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탄핵심판 전 대통령 하야' 잇따라 제기

민주당 국민의당 '대응 가치 없다', 청와대도 일축

범여권 일각에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정 전 ‘박근혜 대통령 자진 하야’ 카드가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촛불집회와 태극기집회로 가속화되고 있는 국론 분열을 막고 국정 안정을 위한 정치적 해법 차원에서 나오고 있지만 야권은 대응할 가치가 없다는 입장이며, 청와대에서도 “있을 수 없다”고 일축해 실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22일 YTN라디오‘신율의 출발새아침’에 출연, 탄핵 인용 혹은 기각이 아닌 정치적 해법에 대해 “대통령의 자진 하야와 여야의 정치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면서 “헌재의 탄핵 심판 결과를 기다리고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국론 분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정치권이 힘을 합쳐야 될 때”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탄핵 심판 전 박 대통령의 사임 가능성과 관련, “이 문제에 대해선 이미 청와대에서도 검토한 걸로 들린다“고 말하며 “현재로선 하야라든지 자진사퇴에 대해선 생각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청와대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걸 다시 (제기)해야 할지는 연구를 좀 해보겠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대선주자인 원유철 의원(평택갑)도 본보 기자와 만나 “대한민국이 두 동강이 나고 있는데 대통령이 (탄핵 기각으로) 임기를 더 하면 어떻고, 대선 후보들이 (탄핵 인용으로) 조금 일찍 대통령이 되면 뭐하나”며 “그 전에 정치가 대화합해서 새로운 정치일정을 만들고 이에 따라 대선을 치르는 것이 정치권이 국민에게 보답하는 길이다”고 주장했다.

 

앞서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도 전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인용되든 기각되든 쉽게 승복이 되지 않을 것 같고, 국론은 점점 더 분열될 것”이라며 “청와대와 대통령은 탄핵심판에 출석하기 전에 국민을 통합하고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방법이 있는지 숙고해주고, 정치권도 탄핵 이전에 정치적 해법이 있는지 적극 모색해 달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같은당 정병국 대표(여주·양평)는 주 원내대표와 뉘앙스를 달리했다.

정 대표는 한국당 정 원내대표에 이어 YTN라디오에 나와 “자진하야가 해법이라고 볼 수는 없다”면서 “헌재 결정이 되던 자진하야가 되든, 사법적 판단은 계속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도 이 같은 주장에 대응하기 보다는 헌재의 탄핵 인용 판결을 믿는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 미리 보는 탄핵심판’ 토론회 축사를 통해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합리적 상식과 근거로써 대통령은 당연히 탄핵돼야 마땅하다는 국민 대다수의 의견과 헌법재판소의 결론은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 역시 탄핵심판 결정 전 대통령의 자진사퇴 가능성에 대해 “현재로서는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다.

 

김재민·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