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서적’ 여파 차단…道, 출판문화산업 돌파구 마련

송인서적 부도… 도내 출판문화계 ‘신음’ 
줄도산 막아라 출판사 구하기
경기도 ‘3대 플랜’… 유통구조 개선, 책 읽는 문화운동 확산, 지역서점 활성화

제목 없음-1 사본.JPG
경기도가 송인서적 부도 사태로 침체한 도내 출판문화계를 일으키기 위해 ‘협동조합형태의 출판도매상’ 설립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지원 대책을 마련한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월 출판도매업 업계 2위인 송인서적은 100억 원대의 어음을 처리하지 못해 부도를 냈다. 송인서적과 거래하던 전국 중소 출판사 2천여 곳에서 총 688억 원가량의 피해가 발생했고, 이 중 도내 피해서점도 470여 개에 달한다.

 

이에 송인서적 부도 사태 직후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자체는 피해를 입은 소규모 출판사를 돕기 위한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문체부는 피해 출판사 등에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의 출판기금 50억 원을 활용한 1%대 저리 융자 지원방안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은 긴급경영안정자금 일부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도 피해업체를 대상으로 13억 원 규모의 도서구매비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는 빚을 내야 하는 부담이 있는 데다 소규모 출판사가 대출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워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도는 제2의 송인서적 사태를 방지하는 한편 일시적 미봉책이 아닌 중장기적인 해결방안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지난 8일 파주시, 군포시,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연구원, 한국전자출판협회, 중견출판사, 1인 출판사, 지역서점, 책과사회연구소 등 민관 출판업계 관계자로 이뤄진 TF팀을 구성해 1차 회의를 실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유통구조 개선’과 ‘지역서점 활성화’, ‘책 읽는 문화운동 확산’이라는 3가지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고 갔다.

 

‘유통구조 개선’ 측면에서는 송인서적 등 일부 도매상에 편중된 유통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협동조합 도매상 설립에 대한 의견이 제기됐다. 출판업계 종사자들은 협동조합이 유통을 담당하면 현재 유통구조에서 비일비재한 ‘어음’ 문제가 해결되는 등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서점인증제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지자체의 인증절차를 거쳐 선정된 서점에 대해서는 고객들의 신뢰도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인증서점에 대해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이 밖에도 ‘책 읽는 문화운동 확산’을 위해서는 책과 관련된 각종 지역행사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지만 경기도가 주축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자 TF팀을 구축했다”면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찾아 출판문화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