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될 어린이 가운데 소재가 파악되지 않은 아동 98명의 행방을 찾아달라고 교육부가 경찰에 의뢰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23일부터 시ㆍ도교육청과 경찰청, 지자체와 함께 취학 대상 어린이 48만2천553명 가운데 예비소집일에 오지 않은 3만3천931명의 소재를 점검한 결과 21일 현재 98명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중 상당수는 복수 국적자이거나 주소를 이전해 소재 파악이 안 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전혀 행방을 알 수 없는 아동도 있다.
미확인 아동은 경기도가 57명으로 가장 많고, 인천은 9명이다. 경기도교육청은 올해 도내 초등학교 입학예정자는 모두 13만5천775명이며, 이중 57명이 두차례의 예비소집에 모두 불참했다고 밝혔다. 1ㆍ2차 예비소집 불참 아동이 188명이었으나 현장 조사 과정에서 57명으로 줄었다. 불참 아동은 해당 거주지에 다른 사람이 살고 있거나 부모와 연락이 닿지 않은 ‘주소불명’(연락두절 포함)이 3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해외체류’ 24명, ‘이사 예정’ 2명으로 집계됐다.
교육당국은 보통 개학이 임박하면 불참 아동에 대한 확인이 대부분 완료되는데 올해는 예상보다 많은 숫자가 파악되지 않아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2차 예비소집과 현장 확인까지 했지만 소재가 불분명한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연락이 닿지 않는 부모들은 아이를 학교에 보내지 않으려는 것일까. 불안감을 감추기 어렵다. 며칠 전 안양에서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아동이 7년 전 친모로부터 유기당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예비소집 불참 아동에 대한 걱정이 더욱 크다. 신생아때 버려진 이 아동은 출생신고서에 적힌 주민번호가 아닌, 다른 주민번호와 이름을 갖고 보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다른 예비소집 불참 아동 중에서도 신변에 이상이 있는 아동이 있지 않을까 우려된다. 교육당국과 경찰, 지자체는 마지막 한 명의 안전까지 확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아동의 안전 및 유기ㆍ방임ㆍ학대 여부를 확인하고 범죄 혐의가 발견되면 즉시 수사에 착수해야 한다.
교육부가 입학하기 전 예비소집일에 오지 않은 학생들을 전수조사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지난해 초등학교 예비소집일에 나오지 않은 지 한 달 뒤 계모의 학대로 숨진 평택 ‘원영이’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다. 아동학대나 방임으로 인한 제2의 원영이 사건 피해자가 없도록 행방이 묘연한 아동들이 반드시 찾아내야 한다. 3월 입학식이 열린 이후에도 아이들이 나타나지 않으면 교육적 방임이다. 끝까지 추적해 소재 파악에 나서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