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안철수 경선룰 시각차… 오픈 프라이머리 시행 공감 모바일 투표엔 의견 엇갈려

국민의당이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룰 협상에 착수했지만 쟁점 사안을 놓고 시각차를 드러내며 난항이 예고된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 안철수·천정배 전 대표 등 세 주자 측은 지난 22일부터 연일 비공개로 룰 협상을 벌인 큰 틀에서 오픈 프라이머리(개방형 완전국민경선제)를 시행한다는 데는 공감했지만 모바일 투표 도입 여부 등 세부 룰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손 전 지사 측 관계자는 26일 본보와의 전화통화에서 “모바일 투표와 현장 투표를 병행한다고 해도 실제 유효 투표의 대부분이 모바일 투표인 만큼 표심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어 민주주의 원칙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천 전 대표 측도 마찬가지로 모바일 투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손 전 지사 측은 사전에 선거인단을 구성하지 않고 누구나 현장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하자는 주장을 펴는 것으로 전해졌다. 손 전 지사 측은 “대선이나 총선, 지방선거처럼 신분증만 있으면 경선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민의당 경선을 흥행하는 방안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는 손 전 지사 측에서는 모바일 투표 없이 100% 현장 투표를 통해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모바일 투표의 경우 대리 투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모바일 환경에 익숙지 않은 고연령층의 참여를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다른 주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오프라인 조직력’을 활용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반면 안 전 대표 측은 손 전 대표 측의 입장에 대해 난색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민주당이 완전국민경선제도를 도입, 선거인단이 200만 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되며 흥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의당이 오히려 폐쇄적인 100% 현장 투표를 고집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안 전 대표 측은 모바일 투표를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되 투표의 비밀성 등을 보완함으로써 공정성 시비를 피할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세 주자 측은 오는 28일 경선 룰을 완성한다는 목표지만 여러 쟁점에 대해 평행선을 달리면서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강해인·송우일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