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도’ 떨어지는 경기도 공약

본보 ‘대선주자에게 듣는다’ 분석해보니
교통 문제·일자리 등 대부분 선거철 단골 메뉴
핵심공약 채택될지도 불투명… 空約 그칠 우려

주요 대선주자들이 ‘벚꽃 대선’을 전제로 ‘최대 표밭’인 경기지역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한 공약(公約)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하지만 선거철마다 등장하는 ‘재탕 공약’이 대부분인데다 각 당 후보로 최종 결정됐을 경우 핵심 공약에 포함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공약(空約)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6일 본보가 주요 대선주자들과 가진 ‘대선주자에게 듣는다’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사상 최악의 청년 실업난 속에서 첨단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경기도를 일자리의 메카로 만들겠다는 약속이 많았다.

 

특히 남경필 경기지사는 판교 테크노밸리와 같은 일자리 플랫폼을 판교, 광명·시흥, 고양·일산, 경기 북동부 지역에 추가로 조성, 경기도를 4차 산업혁명 일자리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손학규 전 경기지사도 경기 남부와 북부에 테크노밸리를 각각 1개씩 만들겠다는 공약을 제시했고, 같은 당 천정배 전 대표 역시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집중 육성·지원해 첨단기술분야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공약은 경기지역에는 희소식이지만 ‘수도권에만 경제력이 집중될 수 있다’는 비수도권 지역의 지적이 나올 수 있다. 이 때문에 추진 과정에서 비수도권의 반발에 부딪힐 경우 자칫 ‘장밋빛 공약’에 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선거철마다 되풀이되는 교통공약도 어김없이 제시, ‘재탕·삼탕’ 공약이라는 비아냥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추진, 광역버스 신설 및 노선개선 등 광역대중교통 확충 등 ‘선거철 단골메뉴’를 제시했다.

 

또한 손 전 지사는 수도권 통합교통기구의 설립을 통해 서울에 대한 경기도 전역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내놨고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은 경기·인천·서울 등 3개 광역지자체가 협의해 공동으로 교통 사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관을 설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는 남 지사가 지난해 9월 연정 2기 추진과제로 선정한 ‘수도권광역교통청’ 설립과 일맥상통하는 것이어서 ‘숟가락 얹기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접경지역인 탓에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기 북부지역을 남북 경협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구상도 이어졌다.

 

문 전 대표는 접경지역을 평화경제의 전진기지로 조성하면 경제통일에 대비하고 낙후지역 발전도 도모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파주 지역에 평화통일경제특별구역을 설치하겠다고 밝혔고, 손 전 지사는 파주~인천~북한 개성을 잇는 평화경제 자유구역을 만들어 남북 교류협력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문 전 대표의 경우 지난 2012년 대선에서는 ‘개성-파주 경제특구 지정 등 남북 교류협력 배후지 조성’을 약속한 바 있다. 남북 관련 공약의 경우 화해 무드가 조성되지 않으면 추진 여부가 확실하지 않은 만큼 대선주자들이 ‘공수표’를 남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은 “지역공약은 예산 등을 이유로 후보의 핵심공약으로 채택되지 않고 액세서리처럼 공약집에 딸려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보니 지역주민의 표만 뺏어가고 상처만 남긴다”면서 “광역지자체별 주요 과제를 대선후보에 제안하고 공약 수용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송우일ㆍ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