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론 모으자” vs “대통령 탄핵”… 3·1절에도 갈라진 여야

한국·바른정당 “선열앞에 부끄러워… 통합 나서야”
민주·국민의당 “태극기 숭고한 의미 왜곡 안타깝다”

제98주년 3·1절인 이날 여야 정치권은 순국선열들의 희생을 기리며 새로운 대한민국을 건설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정국 해법에선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범여권인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태극기와 촛불 집회로 나뉜 국론분열을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정의당 등 야권은 박근혜 대통령 국정농단 사태를 비판하며 박 대통령 탄핵에 대한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당 김성원 대변인(동두천·연천)은 이날 논평에서 “감격스러운 3.1절을 맞이했지만 지금 대한민국은 대통령 탄핵이라는 국가적 위기 앞에서 한 없이 무력하다”며 “탄핵 찬성과 반대로 국론이 분열돼 첨예하게 대립하며 서로를 향한 강한 적대심마저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이제 분열과 갈등의 장벽을 걷어내고, ‘애국, 번영, 화합’이라는 3.1운동의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그 어느 때보다 극심한 갈등과 위기를 겪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대한민국의 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범여권으로 분류되고 있는 바른정당 이기재 대변인도 성명을 발표하고 “98회를 맞이하는 3.1절, 나라의 독립을 위해 산화하신 순국선열 앞에 얼굴을 들기가 부끄럽다”며 “국민은 촛불과 태극기 집회로 양분돼 온갖 분노와 저주로 서로를 공격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이 대변인은 그러면서 “국민이 분열하면 국력이 쇠락하고 나라가 망한다”며 “3.1절 맞이하여 모든 정당과 정치지도자들은 찢겨진 국론을 모으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우리 민족의 자랑이던 그 태극기의 숭고한 의미가 박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심판을 거부하는 세력들에 의해 왜곡되고 있다”며 태극기 집회를 강하게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전대미문의 국정농단으로 나라를 쑥대밭으로 만들어놓고도 일말의 반성은커녕 눈과 귀를 가린 맹목적인 지지자들을 이용해 자리보전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또 굴욕적인 한일 위안부 합의로 파렴치한 일본 정부에 면죄부를 주고 우리 할머니들 가슴에 대못을 박았다. 왜 부끄러움은 국민들의 몫이어야 한단 말인가”라며 반문했다.

 

그러면서 그는 “민주당은 3.1절 아침, 유신잔재들의 역습이 벌어지고 태극기의 정신이 호도되는 작금의 현실에 개탄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우리는 오늘, 국민들과 함께 촛불광장에서 순국선열의 숭고한 뜻을 되새기며 박 대통령의 탄핵을 소리 높여 외칠 것”이라고 공언했다.

 

국민의당 김경진 수석대변인도 “경사스러운 3.1절임에도 온전히 기뻐할 수는 없다”며 “박근혜-최순실의 국정농단으로 그리고 특권과 반칙으로 얼룩진 우리 사회의 부정부패로 국민들이 고통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일본 정부의 탄압에도 선조들이 꿋꿋이 지켜왔던 자랑스러운 태극기가 대통령의 헌법파괴, 불법행위를 감싸려는 일부 극우단체에 악용되고 있는 현 상황이 무엇보다 안타깝기만 하다”며 “일제의 탄압에 맞서며 순국선열께서 건설하고자 하셨던 대한민국을 국민의당이 앞장서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추혜선 대변인 역시 논평에서 “현 정권은 일본과 굴욕적인 위안부 협상을 맺는 것도 모자라 정부 요인들이 나서서 일본을 적극적으로 변호하는 작태를 보여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추 대변인은 “친일ㆍ독재세력의 표상과도 같은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에 의해 탄핵당해 최종선고를 앞두고 있다”며 “박 대통령과 함께 들어섰던 친일ㆍ독재세력의 음습한 흔적들도 모두 일소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해인ㆍ구윤모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