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성대학교 부실한 인사시스템 잡음

‘성추행 의혹’ 같은 재단 고교 행정직원 6급 전보 발령
대학 일부 관계자들 “검증 무시한 처사” 거센 반발

협성대학교에서 연구비를 횡령하거나 이력서를 허위로 기재한 교수들이 특별 감사에 적발돼 물의(본보 2월28일 6면)를 빚은 가운데, 해당 대학과 같은 법인을 둔 도내 A고교에서 기간제 교사 성추행 의혹을 받고 있는 직원이 협성대로 전입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이같은 사실을 몰랐던 협성대 이사회에서 한참 뒤에서야 해당 문제를 제기하는 등의 문제점을 노출, 법인 인사 시스템에 허점이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까지 일고 있다.

 

2일 협성대학교와 A고교 등에 따르면 협성대와 같은 재단 산하 A고교에서 행정직원으로 근무했던 B씨는 올 1월1일자로 협성대학교 6급 직원으로 전보 조치됐다. 본인이 소속된 기관에 전출 동의서를 제출하게 되면 기관장 사이 협의를 거쳐 법인간 이동이 이뤄진다.

 

그러나 B씨가 협성대로 옮기기 전 A 고교에서 기간제 교사를 성추행했다는 의혹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B씨가 협성대로 전보 조치되는 과정에서 ‘검증을 무시한 처사’라며 대학 일부 관계자들이 거세게 반발했다. 

익명을 요구한 대학 관계자는 “당시 B씨에게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전보 조치에 대해 반대하는 이들이 상당수였다”면서 “하지만 학교 측은 이를 무시한 채 전보 인사를 단행했으며, 학교 측은 아직도 납득할 수 없는 답변만 내놓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B씨의 소식을 전해 들은 협성대 노조도 학교 측에 즉각 반발했다. 이들은 내부적으로 인사적체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B씨의 전보는 ‘부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결국 B씨는 지난 1월 말 협성대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특히 이같은 상황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던 협성대 이사회는 사건이 일단락된 지난달 회의에서야 이를 문제삼았고, 아직까지 내부적으로 잡음이 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협성대 관계자는 “전임지에서 B씨에 대한 인사 검증 절차가 미흡했던 것 같다”면서 “시스템상 미비한 부분이 있다면 개선하고, 앞으로 재발 방지를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