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중국 '사드 보복' 한목소리로 비판…사드 배치엔 시각차

여야는 3일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한반도 배치와 관련, 중국이 한국여행 전면금지 등 보복수위를 높이는 데 대해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다만 범여권은 사드배치 자체는 계획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다음 정부에서 재논의해야 한다고 밝히며 이견을 보였다.

 

특히 당정은 중국의 보복 조치에 우려를 표시하면서도 사드 배치는 예정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한국당과의 고위당정회의에서 “사드 배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가안위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자위적 방어조치”라며 “어떠한 제3국도 지향하지 않는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방부와 롯데 간 부지교환 계약 체결로 사드 배치 부지가 확보된 만큼 정부는 부지공여, 환경영향 평가 등 절차가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미 간에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도 “사드 배치는 북한이나 중국 측의 논리에 얽매일 것이 아니고 다음 정권에 넘겨야 하는 게 아니라 부지교환 이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실질적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정당 정병국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한국기업 보복은 대국답지 못한 치졸한 행위”라면서도 “기업이 어렵게 결단한 사드 부지 제공을 뇌물로 호도하고 사드 배치 결정을 다음 정부로 넘기라는 민주당은 도대체 어느 나라 정당이냐”고 반문했다.

 

반면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중국의 보복조치가 도를 넘고 있다”고 지적하며 “한한령(限韓令)·금한령(禁韓令) 같은 외교 외적인 보복조치로는 당면한 현안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 밝힌다. 중국 당국의 현명한 태도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 역시 최고위원회의에서 “중국 정부의 지나친 경제보복은 한중 우호 관계를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나친 경제보복은 G2 국가로서 바람직하지 않고,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강해인·송우일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