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운명의 일주일’… 헌재, 탄핵심판 10일 선고 유력

▲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을 경찰들이 지키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심판기일이 코앞에 다가오면서 휴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헌법재판관들이 출근하는 등 헌재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연합뉴스
▲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을 경찰들이 지키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심판기일이 코앞에 다가오면서 휴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헌법재판관들이 출근하는 등 헌재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민국 운명을 좌우할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 기일이 다가오면서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치권과 법조계에서는 이르면 오는 10일 탄핵 심판 선고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결과에 관계없이 ‘후폭풍’이 불가피, 정치권의 셈법도 복잡한 상황이다.

 

야권에서는 탄핵 인용에 무게를 두며 조기 대선 체제와 각 당의 경선에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지지율 강세를 보이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들은 막판까지 촛불 정국에 집중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 민주당 대선주자들은 지난 주말 일제히 광장으로 달려가 지지층 통합에 나섰다. 문재인 전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은 지난 4일 나란히 광화문 촛불집회에 참석했으며 안희정 충남지사도 대전 서구에서 열린 촛불집회에 참석해 지지표 확보에 주력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도 경선을 앞둔 만큼 탄핵 결과를 지켜보며 외연 확장 전략을 마련, 반격 채비를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

 

대선판에서 상대적 열세에 빠진 보수진영에서는 계산이 복잡해졌다. 탄핵 기각을 겨냥, 반대집회를 이끌며 재기를 노리던 자유한국당 내 친박(친박근혜) 세력과 일부 대선주자들에 대한 비판도 거세질 수밖에 없다.

 

또 여전히 뚜렷한 대선주자가 없는 상황에서 탄핵이 인용될 경우 대선판을 끌어가기도 어렵다. 이에 따라 보수진영에서는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서 2위권을 형성하고 있는 황교안 대통령 국무총리 권한대행의 출마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황 권한대행이 출마를 포기할 경우 최근 다크호스로 떠오른 홍준표 경남지사를 비롯,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지사가 대항마로 떠오를 가능성도 있지만 대선판 자체가 야권에 유리한 구도여서 고전이 예상된다.

 

반면 탄핵이 기각되면 그동안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달려온 정치권에 엄청난 혼란이 초래될 것으로 관측된다. 더욱이 민심이 요동치면서 잦아들던 촛불이 결과에 불복, 다시 광장으로 쏟아져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탄핵을 주도한 야권과 의원직 총사퇴를 결의한 바른정당은 심각한 혼란 사태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국당 친박계와 대선주자들은 회생의 기회를 잡으면서 야권에 총공세를 퍼부을 것으로 전망된다.

 

강해인·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