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초ㆍ중ㆍ고 자녀를 둔 가구의 84%가 사교육을 시키고 가구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67만 4 천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경기도가 ‘2016년 경기도 사회조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조사가구 중 도내 자녀가 있는 가구는 7천600여 가구로, 이중 자녀에게 사교육을 시키는 가구는 6천400여 가구(84%)에 달했다.
가구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67만4천 원으로 집계됐고 자녀 1명당 월평균 45만 5천 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고등학생이 62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중학생이 52만2천 원, 초등학생 39만4천 원이었다.
사교육을 받는 이유로는 ‘남들보다 앞서나가기 위해서’가 41.6%로 가장 많았고 이어 ‘남들이 하니까 안 하면 불안해서’가 17.8%, ‘학교수업을 잘 따라가지 못해서’가 14.2%, ‘학교수업 수준이 낮아서’가 9.1%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교육을 시키지 않는 이유는 ‘자녀가 원치 않아서(33.8%)’, ‘경제적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33.1%)’, ‘학교수업만으로 충분하므로(25.4%)’ 등이었다.
시군별 가구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과천이 91만 1천 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성남(90만9천 원), 용인(82만7천 원), 구리(75만8천 원), 고양(74만4천 원) 순이었다. 반면 포천(37만9천 원), 동두천(41만8천 원), 양주(42만9천 원)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2016년 경기도 사회조사는 지난해 8월29일부터 9월 12일까지 15일간 도내 3만880가구, 15세 이상 가구원 6만 6천52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