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중학생 전면 무상급식이 새 학기 첫날(2일)부터 실시된 건 늦었지만 다행이다. 중학생 전면 무상급식 문제는 지난 1년간 남다른 우여곡절을 겪었다. 인천시와 10개 군·구 및 시교육청의 재원분담 문제로 난항을 거듭한 끝에 작년 10월 극적으로 합의됐다. 무상급식 대상은 135개교 중학교 재학생 8만588명으로 1인당 연간 급식비는 74만원이다.
이로써 인천이 중학교 무상급식 실시율 전국 꼴찌(14.8%)라는 불명예를 벗게 됐다. 그동안 인천에선 섬 지역인 옹진군과 저소득층 학생 일부에게만 급식비가 지원됐었다. 전면 무상급식에 필요한 비용은 591억원이다. 이 중 시교육청이 59.4%인 351억원을 부담하며, 인천시가 23.2%인 137억원을 부담한다. 10개 군·구도 17.4%인 103억원을 각각 분담한다.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하면서 행정당국과 일선 학교에서 특별히 유념할 점이 한 둘 아니다. 물론 ‘인천학교급식시민모임’ 등 시민단체들은 급식모니터링 활동을 강화하는 등 꾸준한 관심과 참여로 무상급식 안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또 인천시와 시교육청도 음식의 질 향상을 위해 철저한 감독·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모두 옳은 조치들이다.
그럼에도 명심해야 할 점을 다시 강조하는 건 이런 다짐들이 시간이 흐르면 허술해지고 빈틈이 생기게 되기 때문이다. 집단 무상급식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건 질 좋은 식단과 급식안전 확보다. 무상을 반기되 자녀들의 식단 부실화를 좋아할 학부모는 아무도 없다. 무상급식을 위해 확보한 예산은 1년 단위로 고정돼 있기 때문에 만약 식재료 가격이 오를 경우 유연한 대처가 어렵다. 고기반찬이 빠지고 배식 양도 적어지는 등 식단의 부실화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오르는 물가를 급식 단가에 반영하는 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식중독 사고는 학교 집단급식 실시 이후 연례행사처럼 일어나 학생과 학부모들을 불안케 하고 있다. 그때마다 당국은 위생 점검을 실시하고 있지만 그때뿐 식중독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당국의 위생 점검 어디엔가 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식당에서 사용하는 고무장갑에서 나타나지 않아야 할 일반 세균이 검출되거나 조리실이 지저분하고 식기류 등에 대한 소독 소홀이 지적되기 일쑤였다. 변질되기 쉬운 식품을 기준에 맞지 않게 보관해온 경우도 있었다. 얼마 안 있으면 여름이 어김없이 다가온다. 영양·위생관리를 철저히 실시, 학생들이 마음 놓고 점심을 먹을 수 있게 해야 한다. 학부모들이 가질 수 있는 일말의 걱정을 완전히 불식시키기 위해선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자녀들이 걱정 없이 학교 밥 먹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없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