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금한령 쓰나미’ 민간협력 통해 위기돌파

인천상의, 제조업 섣부른 비관론 자제
사드배치 현실화… 지역기업 피해 촉각
상황 예의주시 양국 기업 신뢰유지 총력

사드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 조치가 현실화된 가운데, 인천상공회의소는 7일 전반적인 제조업 전체에 대한 섣부른 비관을 자제하고 민간부문 신뢰를 유지해 나가자는 ‘신중론’을 내놓았다.

 

인천상의는 7일 ‘금한령 문제해결 위한 민간교류 협력 중심의 신뢰관계 강조’라는 자료를 통해 “중국 정부에서는 공식적으로 관광 등 몇몇 분야에서만 제재를 가시화하고 있다.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유동적이므로 섣부른 비관 혹은 부정적인 예측은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상의는 지난달부터 금한령을 우려하는 기업조사자료를 발표해 다소 이례적인 입장으로 보일 수 있으나 “같은 맥락이며, 지나친 해석을 자제하자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인천상의는 이미 지난 2월초 관내 기업인 조사를 통해 대중국 교역 조건 악화 가능성을 언급해 왔다.

 

당시 조사에서 “사드배치 결정 이후 대중국 교역”에 대해서는 ‘현재는 없지만 향후 피해가 우려된다’(63.1%)’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영향이 없다’는 업체가 22.2%, 현재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업체도 14.7%를 기록했다.

 

실제 피해가 발생했다고 응답한 업체는 ‘화장품’, ‘식품 및 생필품’ 업체가 다수였으며, 기타 ‘기계’, ‘전자’, ‘자동차부품’, ‘건설자재’ 등을 중국에 수출하는 업체에서도 피해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인천시는 전국 최초로 한중FTA지방경제협력시범지역으로 지정되어 웨이하이(위해)시와 상호 경제협력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등 대중국 경제교류가 무르익어 가는 시점에서 중국이 사드배치에 대한 대 한국 제재가 공식화되어 당혹스러운 상황이다.

 

‘금한령’에 대하여 인천지역 경제계가 유독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인천의 대중국 교역 의존도가 전국보다 높기 때문이다.

 

인천지역의 2016년 대중국 수출액은 94억 9천만 달러, 수입액은 72억 8천200만 달러로 국가별 비중으로 비교했을 때 수출 1위, 수입 1위에 해당할 만큼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가이다.

 

인천은 대중국 수출액이 2015년 대비 2016년 24.1%가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김신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