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정치 참여 확대”… 성평등 정책으로 ‘女心’ 공략

문재인, 더불어 돌봄 정책… 이재명은 양성평등 내각 제시
안철수 “女장관 비율 30%로”… 유승민, 콜센터 고충 청취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왼쪽부터),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 이재명 성남시장이 8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38 세계 여성의 날 기념 제33회 한국여성대회에서 성평등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왼쪽부터),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 이재명 성남시장이 8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38 세계 여성의 날 기념 제33회 한국여성대회에서 성평등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 대선주자들이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성평등 정책을 발표하는 등 여성 유권자 표심 잡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고양갑)는 이날 서울시청에서 열린 세계 여성의 날 기념 한국 여성대회에 나란히 참석, ‘여심(女心)’ 공략에 진력했다. 이들은 ‘성평등이 곧 민주주의의 완성’이라는 데 공감하고 직장 내 성평등과 여성 안전 등에 대한 자신의 공약을 내놨다.

 

문 전 대표는 △‘10 to 4’(10시∼16시) 더불어 돌봄 정책 △성별 격차 해소 △안전사회 정책 등 세 가지를 여성 정책의 핵심 키워드로 제시했다. 그는 “부모가 함께 아이를 키우도록 주 52시간 법정노동시간을 준수하고 취학 전 아동을 둔 부모에게 임금감소 없는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법제화로 여성 비정규직 문제를 해소하고 성평등과 인권교육을 공교육에 포함, 어릴 때부터 성인지적 감수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 시장은 “청와대 내각부터 성평등을 실천하겠다. 초기에는 여성의 비율을 30% 정도로 시작해서 임기 안에 양성평등의 내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차별금지법을 제정하고 학교에서 성평등 교육을 실시해 어릴 때부터 가르치도록 하겠다”며 “아이를 낳고 기르는 일이 개인과 가족의 책임이 아니라 국가와 공동체의 책임이 될 수 있도록 국가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강화를 위해 내각의 여성 장관 비율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인 30%부터 시작하는 한편 가족돌봄휴직을 보장하고 성평등·인권교육을 정규교육과정에 포함하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여성가족부를 ‘성평등인권부’로 개편, 국민 모두의 성평등한 삶을 보장하고 국무총리 산하 양성평등위원회를 대통령 직속 국가성평등위원회로 격상시키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심 대표는 “정치인 여성 공천이 ‘30% 권고’로 돼 있는데 이를 ‘의무’로 바꿔야 한다”면서 여성의 정치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슈퍼우먼’이라는 말은 사회와 국가가 책임져야 할 일을 여성에게 ‘독박’ 씌우는 말”이라며 부모가 육아에 함께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은 이날 서울의 한 공영홈쇼핑 콜센터를 찾아 여성 상담원들로부터 감정노동으로 인한 고충을 청취했다. 여성 상담원들은 주로 욕설을 하거나 화를 내는 등 전화 언어폭력에 시달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날 현장에서 상담원에게 욕설을 퍼붓는 고객의 통화를 들은 유 의원은 “굉장히 충격적이었고 그런 행동은 고객의 권리를 넘어서는 것”이라며 법적인 제재·처벌 방안 마련을 약속했다. 그는 이어 “회사에서도 저런 욕설로부터 상담원들을 보호하는 내·외부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송우일 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