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서울시, 인천시가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 등 감염병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수도권 감염병 공동협의회’를 구성한다.
특히 수도권 3개 광역지자체는 이번 협의회 구성을 통해 감염병 발생 시 전염병 전용 격리병상(음압병상)을 공동 활용하기로 해 감염병 발생 시 환자의 신속한 격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경기도는 서울시, 인천시와 함께 10일 서울시청에서 ‘수도권 감염병 공동 협의회’ 협약식을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메르스, 지카바이러스와 같은 해외유입ㆍ신종 감염병이 증가하는 가운데 수도권 광역지자체가 공동대응해 이들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고 신속히 조치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경기도와 서울시, 인천시는 인구밀도가 높고 교통망이 연계된 일일생활권으로 시ㆍ도간 경계가 없어 감염병 공동대응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도는 지난 2015년 메르스 발생 이후 서울시와 인천시에 공동협약을 제안, 1년 이상 협의를 거친 끝에 협의회를 구성하게 됐다.
이번 협약의 주요내용은 ▲감염병 발생 대비 사전 협력체계 구축 ▲감염병 환자 및 의심환자 정보 공유로 공동대응체계 유지 ▲인적ㆍ물적 지원 협의 등이다.
특히 3개 지자체는 메르스 등 급성호흡기 환자나 의심환자가 발생할 경우 전염병 전용 격리병상(음압병상)을 공동 활용하고 이송ㆍ치료 협력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감염병 관리 정책 및 사업, 주요 사례도 공유한다.
이와 함께 핫라인(Hot-Line)을 구축해 신종ㆍ해외유입 감염병 확산 차단과 관련한 정보를 상시 공유하고 인적ㆍ물적 지원을 통해 공동방역을 실시한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수도권 3개 시ㆍ도가 모인 이번 협약은 자치단체 간 연정협력의 좋은 사례”라며 “이번 수도권 감염병 공동협의회 출범을 계기로 제2의 메르스 사태를 예방하고 각종 감염병으로 인한 위기상황 발생 시 대응역량을 한층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