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자가 안전한 ‘첨단교통도시’ 시동… 市, 3차 교통안전기본대책 수립

시설 개선·교통약자 편의 강화

인천시가 교통약자 등 보행자 안전을 중심으로 한 향후 5년간 교통안전대책를 수립한다.

 

시는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인천시 교통안전 기본계획’을 공고했다. 시는 ‘사람 우선, 첨단 교통안전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노인과 어린이 등 교통약자들을 보호하는 보행자 교통안전대책을 수립했다.

 

지난 5년간 인천지역의 경우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사망·부상자 수는 연평균 -2.4%를 기록해 전국 평균 0.9% 증가보다 보다 높은 감소세를 보였지만,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이 평균 1.09%로 전국 6대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 교통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 증가율이 3.7~8.1%로 증가하고 있어 고령자 중심 교통안전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시는 우선 인천에서 보행자 무단횡단이 잦은 중구 신흥사거리 부근 등 모두 27곳을 선정해 개선사업에 나선다.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 동선을 고려해 인근 횡단보도를 옮기거나 새로 횡단보도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 필요한 곳에는 무단횡단 방지휀스 등의 안전시설물을 설치하기로 했다.

 

아울러 교통사고 다발지점에 야간 횡단보도 조명(투광기)를 설치하는인천경찰청과 협의해 무단횡단 집중단속을 실시하기로 했다.

 

노인과 어린이 등 교통약자 보행자를 대상으로 한 교통안전대책도 실시한다. 시는 최근 3년간 발생한 고령 보행자 사고다발지역 63곳 중 10곳(부평구 3곳, 남동·남구 2곳, 중·계양·동구 1곳)을 노인보호구역으로 추가로 지정하기로 했다. 특히 고령층 인구비율이 높은 강화·옹진군 일대를 고령자 중심 종합관리지역으로 선정해 보행안전시설물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어린이보호구역 역시 최근 사고비율이 높은 11곳을 추가로 지정하고, 옐로카펫, 노란발자국 등 운전자들의 시선을 환기하는 안전시설물을 대폭 설치하기로 했다. 또 어린이보호구역 내 공사현장에 안전휀스를 설치하는 등 어린이 보행안전을 강화하기로 했다.

 

시는 또 일선 군·구와 합동으로 생활도로(이면도로) 내 보도설치, 도로 곡선화, 교통안전표시 등의 시설물 설치를 통한 안전개선을 강화하기로 했다.

 

시는 이 같은 교통안전 기본계획 실천을 위해 목표기간인 오는 2021년까지 2천361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를 위해 연차별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국·시비 투자비율을 5:5로 적용하는 등 예산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관련법에 따라 앞선 2차 계획과의 연속성과 현실적인 교통안전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지속가능한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