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인천 무형문화재] 하. 전승 위해서는…

전승지원금 늘리고 시민밀착형 공연 확대해야

인천시 무형문화재의 효과적인 전승과 육성을 위해서는 기업연계와 전승지원금 확대 등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학교연계, 공연활성화 등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사업의 꾸준한 진행도 요구된다.

 

9일 시에 따르면 시 무형문화재는 모두 25종으로, 지난 1988년 첫 보유자 지정을 시작으로 보유자와 명예보유자, 전수교육조교, 전수장학생 등 100명의 전승자가 지정·운영되고 있다. 이들에게는 자격에 따라 월 20~100만원씩 연간 6억원의 수당이 지급되고 있으며, 시에서 주최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에 참여하면 수강생 1인당 보유자 기준 8천원의 교육비가 별도 지급된다. 전승자들은 시에서 별도 마련한 전수교육관에서 전승·보존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무형문화재 대부분이 자신의 예능과 기능 등 문화재 자체를 생계수단으로 삼는 만큼, 처우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지역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활동수당 현실화 등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전수·이수자의 고령화는 물론, 문화재 수준저하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화재 단체 관계자 A씨는 “예능인과 기능인을 막론하고 대부분 전승자가 이를 생계로 삼는 상황에서 시의 지원금이 턱없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며 “교육활동비와 공연수당 등의 현실화 없이는 고령화로 명맥이 끊기거나 사라지는 문화재가 속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보존,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업이나 학교와 연계해 스킨십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세종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교수는 “강화 용두레질 소리 등 지역특화 콘텐츠의 경우 학교 방과 후 활동이나 대학교 동아리 등에서 충분히 다룰만한 가치가 있다”며 “젊은 사람들이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의 경우 이익의 일정부분은 문화 활동에 기여할 의무가 있는 만큼, 무형문화재 공연이나 지원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며 “시가 주선자의 입장에서 전승과정에 도움이 되도록 정책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인천시가 지정한 무형문화재가 타 광역시도에 비해 많아 인천의 가치에 맞는 종목을 추려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일부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전수교육관 운영을 비롯해 타지역보다 무형문화재에 대한 지원에 힘쓰고 있는 실정이다. 승격의지가 있는 이수자 중심으로 지원을 집중해 명맥이 잘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며 “기업 연계 아이디어를 검토하는 동시에 올해는 더 많은 공연과 교육프로그램 등을 편성해 무형문화재들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박연선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