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기각 기대” vs 野 “국민 뜻 따라 인용” 비상체제 속 막판 여론전 총력

여야는 9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각각 비상체제로 전환, 탄핵심판 선고 이후 정국 구상에 부심했다.

 

여야는 탄핵심판 선고가 10일 이뤄지면 즉시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입장을 표명하고 향후 발생할 혼란에 대한 수습책을 논의키로 하는 등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 특히 여야는 이날 표면적으로 헌재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원칙을 밝히면서도 탄핵 찬반을 둘러싼 막판 여론전에 진력했다.

 

자유한국당은 소속 국회의원과 원외당협위원장, 당직자들에게 당사와 국회 주변에서 대기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한국당은 헌재 선고 이후의 상황에 대해 의견을 나눴지만 내부적으로 기각·각하에 대한 기대감이 작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명연 수석대변인(안산 단원갑)은 “당이 신속하게 적응하고 대처하기 위해 논의하고 있다”며 “비상체제에 돌입해 상시 대기, 출장 자제를 하면서 사태를 예의주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바른정당은 탄핵 인용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박 대통령의 승복을 촉구하는 데 화력을 집중했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어떤 결정이 나와도 승복하겠다’고 선언해주는 것이 대한민국 통합을 위해 해야 할 마지막 역할”이라고 주장했다.

 

같은 당 고용진 대변인도 “한국당 의원 94명 중 60명이 (박 대통령) 탄원서에 서명했다”면서 “국정농단 사태를 방조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한국당이 노골적으로 탄핵 반대에 나섰다는 것은 뻔뻔하고 추한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도 이날 원내정책회의에서 “헌재가 국민 뜻에 따라 박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면서 “국민의당은 탄핵 이후 질서 있는 수습을 통해 국민의 마음을 제대로 담아낼 수 있는 대통령 선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바른정당 정병국 대표(여주·양평)는 이날 비상 의원총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승복을 선언한다면 최악의 상황은 막을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헌재 판결은 갈등의 종식이 돼야지 새로운 불씨가 돼서는 안 된다”면서 한국당 내 탄핵 찬성세력에 대해 “시대착오적 수구집단과 연을 끊고 바른정당과 함께 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우일·구윤모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