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자 방 같은… 경찰 관사 개선 시급

비좁은 원룸생활 총경 사망 후 낙후된 관사 지원 현실화 목소리
경기북부청 비용부족 2%만 혜택 34% 받는 도청 북부청사와 대조

비좁은 원룸에서 혼자 생활하던 경찰 총경이 사망한 가운데 경찰 관사에 대한 지원이 행정직 공무원 수준으로 개선되는 등 현실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9일 경기북부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경기북부청 소속 P 총경(53)이 홀로 관사 생활을 하던 중 사망했고, 경찰은 정확한 경위를 수사 중이다. 하지만 P 총경의 죽음을 두고 주변 동료가 제일 안타깝게 여겼던 부분은 23㎡ 남짓한 비좁은 원룸에서 혼자 생활했다는 점이다. 

일반 경찰서장급인 총경은 공무원 4급에 해당하는 중요 직책인데도 내부에선 ‘마치 노숙자 방 같았다’는 평이 돌 만큼 시설이 낙후했다는 것이다.

 

특히 서울 송파가 집인 P 총경은 지난 2015년부터 2년 동안 중앙경찰학교(충북 충주), 전남청(전남 무안), 제주청, 경찰청(서울) 등에 이어 지난해 7월 의정부까지 전역을 떠돌아다니며 근무했다. 필요에 의해 수시로 돌아다니는 경찰 특성상 관사의 중요도가 크게 제기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한정된 예산 탓에 경찰에 대한 관사 지원이 만만찮다. 직원 528명인 경기북부청에 관사 지원비는 17억 3천여만 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경찰 내규상 누구나 관사를 이용할 자격이 있는데도, 비용 부족으로 2% 가량인 14명(총경 이상)의 간부만 관사 지원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마저도 1인당 평균 1억 1천만 원 범위에서 전세방을 구해야 하는데 경기북부청이 위치한 의정부 금오동의 경우, 아파트(75.9㎡) 시세가 1억 7천만 원대 안팎으로 형성된 점을 감안하면 결국 P 총경처럼 일반 원룸을 찾을 수밖에 없다.

 

이는 같은 금오동에서 근무하는 경기도청 북부청사와 비교해도 수준이 열악하다. 723명이 근무하는 북부청사의 경우, 현재 급수 제한 없이 34% 가량인 직원 241명이 관사에서 생활하고 있다. 더욱이 경찰과 다르게 올해는 관사를 희망한 공무원 전원이 혜택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이웅혁 건국대학교 경찰학과 교수는 “경찰의 역할과 위상에 맞게 정부차원에서 지원 형평을 타 부처 수준으로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의정부=조철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