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검도 안했는데 유해물질 검출? 환경부 어린이활동공간 조사 ‘엉터리’

경기지역 216곳 중 5곳 ‘이상한 판정’
도교육청 자체조사 준비… 마찰 예고

환경부가 최근 발표한 ‘2016년도 어린이활동공간 점검’ 결과 가운데 일부 학교가 적합 판정을 받고도 부적합으로 기재되는 등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돼 물의를 빚고 있다. 

이에 학교에 대한 전수조사 권한이 있는 경기도교육청이 자체 조사를 준비하는 등 반발, 향후 환경부와의 마찰이 예고되고 있다.

 

13일 환경부와 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환경부가 지난해 전국 어린이활동공간 1만8천217곳을 대상으로 환경 안전 진단을 실시한 결과, 2천431곳(13.3%)에서 납과 수은, 포름 알데히드 등 유해 물질 검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안전진단을 받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놀이방 등 어린이 전용 시설 가운데 도료·마감재에서 납·카드뮴·수은 등 중금속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곳은 861곳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환경부가 발표한 경기지역 216곳 가운데 5곳은 적합 판정을 받거나 점검을 진행하지 않았는데도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화성의 A 초교와 A 초교 병설 유치원은 점검 당시 적합 판정을 받았음에도, 환경부 발표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기재됐다. 이 같은 소식을 접한 A 초교는 이날 ‘학교 신축 당시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고, 안전 진단 결과 이상이 없다’는 내용의 공문을 화성오산교육지원청에 제출했다.

 

화성오산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안전 진단할 때 분명히 적합 판정을 받은 학교였는데, 환경부 발표를 보고 황당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발표된 용인의 B 학교와 B 학교 병설유치원은 점검조차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용인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사전에 계획을 세운 뒤 학교 측과 함께 안전 진단을 실시하는데, 해당 학교는 점검조차 하지 않았음에도 유해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발표됐다”면서 “환경부가 어떤 사실을 근거로 이 같은 결과를 발표한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안전 진단 결과가 발표되기 전 환경부에 사실과 다른 부분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자 환경부는 안전 진단 결과 중 잘못된 사실을 바로 잡을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조사 결과에 일부 잘못된 부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재 시점에서 공개한 내용을 되짚어보고, 사실과 다른 내용은 수정하겠다”고 해명했다.

김규태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