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 금리인상→신흥국 경기 침체→한국 수출 감소…도미노 타격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14~15일(현지시각)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국 수출이 타격을 입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신흥국의 경기침체, 한국 수출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국무역협회는 14일 발표한 ‘3월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 및 영향’ 보고서에서 “14∼15일(현지시각)에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인상이 확실시된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는 우리의 수출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의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달러 약세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역협회는 “미국의 금리 인상은 신흥국의 금융불안과 경기침체를 가속화해 우리나라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우리나라의 대(對) 신흥국 수출 비중은 지난해 기준 57.3%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다만, 미국의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대미 수출은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우리나라 통화정책이 “딜레마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금리차가 축소되면서 외국 투자자본의 유출 여지가 커졌지만, 내수 침체와 가계부채 탓에 국내 금리를 올리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우리 기업은 환율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달러 부채 규모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한편, 외환시장 동향 모니터링, 환 변동보험 활용을 통한 환위험 헤지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제13차 경제현안 점검회의’를 열고, Fed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이에 대내외 시장상황 변화를 24시간 모니터링하고 필요하면 적기에 시장안정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