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교통사고 사망자수 880명에서 514명으로 줄이는 교통안전기본계획 확정

경기도가 연간 880명에 달하는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500명 대로 줄이는 제3차 경기도 교통안전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도는 도민의 교통안전 향상과 환경 조성을 위해 앞으로 5년간(2017~2021년) 추진할 제3차 경기도 교통안전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2015년 기준으로 880명에 이르는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2021년까지 514명으로 줄여나가겠다고 15일 밝혔다.

 

제3차 경기도 교통안전기본계획은 상위계획인 제8차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에 맞춰 5개년 단위로 도로 분야 교통안전에 관한 중·장기 목표 및 교통안전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이다.

 

도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는 23만 2천35건에 달하며, 이 중 22%인 5만 2천954건이 도내에서 발생했다.

 

또한, 도민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7명으로, 서울 3.7명, 인천 4.6에 비해 월등히 높다, 특히, 어린이 사망자수는 0.13명으로 서울 0.06명, 인천 0.03명보다 무려 2~4배가량 많다.

 

이에 따라 도는 제3차 경기도 교통안전 기본계획을 보행자는 물론이고 사업용 차량, 고령(노인)운전자, 이륜차, 자전거, 어린이, 차도폭 9m 미만 도로 등 교통취약부분 사망자수를 50% 감소시키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도는 보행자 중심 도로 구현, 안전한 운전을 위한 도로환경 조성, 안전운전을 선도하는 사업용 차량, 도민이 만족하는 안전행정체계 구현을 제3차 교통안전 기본계획의 4대 전략으로 꼽았다.

 

보행자 중심도로 구현을 위해서는 노인보호구역 횡단보도 개선 등 고령자 교통사고 예방대책 수립하고 어린이 안심통학로 개선 등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대책을 세부과제로 추진한다.

 

또한, 안전한 운전을 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해 사고누적지점 및 구간 개선 등 교통사고 취약지점 관리, 교차로 인지시설 설치 등 교통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생활도로구역 지정 확대 등 주행속도관리에 나선다.

 

더불어 안전운전을 선도하는 사업용 차량을 위해서는 블랙박스 및 후방감지카메라 장착 지원 등 교통사고예방 지원장치 활성화, 운수산업 종사자 교육 강화 등 운수산업 안전관리를 추진하며, 도민이 만족하는 안전행정체계 구현을 위해 교통안전담당부서 신설 등 교통안전행정 역할 강화, 중앙정부-지자체-유관기관 연계체계 강화 등을 추진한다.

 

도는 제3차 교통안전기본계획을 근거로 지속적인 교통안전 사업을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

장영근 도 교통국장은 “제2차 계획 기간 중 도민의 적극적인 동참으로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감소했으나 선진국 수준의 교통안전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낮아 보완·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라며 “제3차 계획 기간에 도는 교통안전 선진국 진입 기반을 조성하고 도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한 교통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전력을 기울여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지난 5년간(2012년~2016년) 제2차 도 교통안전 기본계획 추진으로 교통사고 사망자를 2012년 1천39명에서 836명(잠정)으로 19.5%를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정일형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