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전문가 참여… 7개 분야 ‘인천 백년대계’ 세운다

인천시 ‘2017년 미래정책포럼’ 구성
복지·문화·해양·교통·환경·경제·균형발전 시정 청사진 완성
20일 총회 개최 위원 위촉… 4월말 1차 포럼 열고 본격 활동

민간 전문 집단이 인천시의 중장기 미래 정책 개발에 참여한다.

 

인천시는 7개 분야의 중장기 미래 정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함께하는 ‘2017년 인천미래정책포럼’을 구성해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7개 분야는 인천시의 5대주권(복지·문화·해양·교통·환경)에 경제와 균형 발전 등이 포함된다.

 

7개 분야별로 구성되는 위원회에는 전문지식을 갖춘 민간 전문가 100여명과 시 담당 국장,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자 등 130여명의 전문 인력이 참여한다.

 

시는 각계 각층의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포럼 운영을 통해 미래 정책을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발전연구원의 연구를 통해 전문성도 높이기로 했다.

시는 앞으로 위원회별로 4차에 걸쳐 주제별 포럼을 열 계획이다.

 

위원회별 포럼 주제로는 복지의 경우 인천형 공감 복지,사회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인천 기초보장 정책 방향 등이며, 문화위원회는 문화도시 종합발전계획와 미래창조플랫홈 도시 전략 등이다.

 

교통위원회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및 사부사용 계획, 인천 철도망 구축 등에 대해 협의한다.

시는 오는 20일 ‘2017년 인천미래정책포럼’ 총회를 열고 위원회 위원을 위촉한다.

 

이어 4월말 1차 포럼을 열어 정책여건과 특성을 파악하고, 상반기 중에는 7개 분야에 대한 현안을 검토하고 보완한다. 5월 말 2차 포럼에서는 정책 방향을 보완하고 기존정책을 개선해 새로운 정책을 마련한다.

 

하반기에는 9월 중순 3차 포럼에서 인천의 변화를 점검하고, 4차 포럼에서는 인천의 미래를 전망한 내용을 토대로 분야별 중장기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11월에는 위원회별로 미래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12월엔 이 포럼의 운영결과를 총괄 정리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정책역량을 발휘하기 위해 실천과제를 보완하고 발전방향을 찾을 계획”이라며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논의하는 다양한 정보가 하나로 합쳐져 새로운 정책 방향이 정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백승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