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군공항 이전을 둘러싸고 수원시-화성시 간 갈등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국방부의 ‘침묵’이 갈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방부가 화성 화옹지구 예비이전후보지 선정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면서 출처를 알 수 없는 정보들이 난무하는 등 이전사업 관련 주민들의 의구심만 키우고 있는 실정이다.
19일 국방부와 수원시 등에 따르면 국방부는 지난달 16일 수원 군공항 예비이전후보지로 화성 화옹지구를 선정하면서 명확한 배경이나 이유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다. 이후 한 달이 지난 현재까지 별다른 입장 발표 등을 하지 않고 있다.
화옹지구의 예비이전후보지 선정을 위해 국방부는 경기도 내 6개 지방자치단체 9개 지점에 대한 입지요건 적합성ㆍ공군 작전성 검토 등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상 명시된 평가 과정을 모두 거쳤다. 이는 국방부가 충분히 화옹지구 선정의 적합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국방부의 침묵이 길어지면서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온갖 정보들이 난무하고 있다. ‘수원 군공항과 마찬가지로 화옹지구 활주로도 남북방향이라 소음 피해가 더욱 커진다’, ‘해무와 새떼로 인해 화옹지구는 비행기 이착륙에 적합하지 않다’, ‘7조 원에 달하는 사업을 수원시에서 어떻게 진행하느냐’는 등의 소문들이 그것이다. 이 같은 소문들이 마구잡이로 퍼지며 수원시-화성시 간 갈등뿐 아니라 지역 내 민민갈등까지 조장하는 꼴이 되고 있다. 실제 화옹지구 활주로는 바닷가로 이착륙할 수 있도록 ‘동~서’방향이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해무는 서산 비행장보다 심하지 않고, 개발 사업은 기존 군공항과의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갈등 속 군공항 이전의 핵심 배경인 ‘국가 안보 강화’는 뒷전으로 밀렸다. 기존 수원 군공항의 경우 시설이 낙후되며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공군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이전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이에 대한 설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 군공항 이전은 단순히 지역 염원사업이 아니라 국가 안보차원에서 필요한 사업이지만, 설명에 한계를 느낀다”면서 “갈등 극복을 위해서라도 국방부의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보안상 밝히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고, 화성시가 반대하는 현 시점에서 설명하는 게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면서 “권역별 설명회 개최 등을 계획 중으로, 수원시에서 앞으로 진행할 토론회나 설명회 등 자리가 마련되면 국방부도 함께해 오해를 풀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