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워터프론트 사업 내년 착공 가시화, 사업계획 변경 논란은 계속

인천 송도국제도시를 수로로 잇는 친수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는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이 이르면 내년 착공할 예정이다. 그러나 당초 계획한 순환형 ‘ㅁ’자형이 아닌 ‘ㄷ’자 형 추진계획에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어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9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개방형 해수 교환체계를 구축, 수질개선과 친수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조성사업은 수면적 5.33㎞, 수로연장 16㎞, 수로폭 40~400m 규모로 모두 6천215억원이 필요한 대규모 사업이다.

 

그러나 지난해 정부합동감사에서 11공구 사업비가 누락됐다며 기존 타당성조사를 재검토하라고 지적되면서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더욱이 11공구 수로조성비용까지 포함하면 경제성(B/C) 0.63으로 하락해 사업추진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시와 경제청은 당초 계획을 수정한 ‘ㄷ’자 형태로 추진하겠다는 변경안을 제시했다. 1단계로 송도 6·8공구 호수 및 북측수로를 연결하고 2단계로 남측수로를 연결하는 형태로 사업을 추진해 예술·문화 중심공간, 주민생활과 밀접한 수변공원, 수상스포츠 등 레포츠 활동 지원공간을 잇따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경제청은 이달중 타당성 조사를 착수해 올 하반기 조사완료 및 투자심사를 거치면 내년 하반기 1단계 착공에 돌입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은 ‘ㄷ’자형으로 사업이 변경되면 워터프론트 사업의 근본취지 훼손으로 의미가 없어진다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조형규 송도국제도시총연합회장은 “11공구 수로를 파지 않으면 워터프론트가 아니라 북측수로 수질개선만 하고 말겠다는 의미”라며 “정말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인지, 인천 신·구도심 균형 개발 논리로 송도 원안개발 재원이 없는 것인지 따져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민경욱 의원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각계각층 전문가들과 함께 실효성 있는 방안이 도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