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혐의는 강요? 뇌물?…박 전 대통령 조사가 분수령될 듯

‘비선 실세’ 최순실씨(61)의 핵심 쟁점인 뇌물 및 강요 혐의 여부가 21일 박근혜 전 대통령 소환조사를 기점으로 분수령을 맞이할 전망이다. 앞서 검찰은 최씨의 혐의 가운데 삼성그룹으로부터 받은 돈이 뇌물인지 아니면 강요로 압박해 걷어낸 돈인지 ‘교통정리’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김세윤 판사)는 박 전 대통령 소환 전날과 당일인 20∼21일 최씨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58)의 속행공판을 연다. 20일엔 김용환 현대차 부회장과 권오준 포스코 회장, 21일엔 김창근 전 SK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과 김인회 KT 비서실장 등이 주요 증인으로 출석한다. 대기업 고위 임원들이 대거 증인으로 나오는 만큼 강요와 뇌물 혐의를 둘러싼 검찰과 증인들 간 신경전도 예측된다. 김창근 전 의장의 경우 16일 검찰에 소환돼 청와대와 SK그룹 간 ‘부당 거래’ 의혹 관련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SK가 미르ㆍ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111억 원을 대가성 있는 뇌물 가능성이 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이와 함께 검찰은 SK그룹에 이어 롯데그룹으로 대기업 뇌물공여 수사의 보폭을 빠르게 넓히고 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이날 장선욱 롯데면세점 대표이사 사장(59)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벌였다. 검찰은 롯데 역시 삼성이나 SK와 마찬가지로 출연금의 성격이 뇌물이 아닌지에 무게를 두고 사건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SK에 이어 롯데로까지 수사를 확대한 만큼 박 전 대통령 독대를 전후해 유사 의혹이 제기된 CJ그룹으로도 조만간 수사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18일 검찰에 출석해 13시간 넘게 강도 높은 조사를 받고 이날 새벽 귀가했다.

 

유병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