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방문 중인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양국 간 협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19일 AFP통신 등에 따르면 틸러슨과 시진핑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남을 갖고 양국 간 관계에 대해 논의했다.
하지만 미중 간 복잡한 현안이 뒤얽힌 상황에서 중국을 찾은 틸러슨 장관은 다음 달로 열릴 예정인 양국 정상회담을 의식,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문제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공개적 언급은 피한 채 방중 일정을 마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틸러슨 장관의 이번 순방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달 초 미중 정상회담을 준비하며 아태 안보전략과 미중 간 무역통상 정책의 틀을 짜나갈 것으로 보인다.
틸러슨 장관은 이날 시 주석에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틸러슨 장관은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앞서 진행한 대화에 매우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며 “우리가 향후 대화를 통해 양국 간 유대 강화를 가져올 더 큰 이해를 성취하고 협력 관계를 위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할 기회를 고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 주석도 화답했다. 시 주석은 틸러슨 장관이 새로운 양국 관계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틸러슨은) 중국과 미국의 관계가 우호적일 수 있다고 말했고, 이에 대해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모두 양국의 협력이 서로 추구하는 방향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며 “우리는 건설적인 발전을 위한 새로운 시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틸러슨 장관과 시 주석은 북한의 미사일과 핵 프로그램, 양안(중국과 대만) 문제 등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오전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신형 로켓엔진 지상분출 시험을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에 존재감을 부각하기 위해 틸러슨 장관의 중국 방문 일정을 겨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틸러슨 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만나 대북 정책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미국은 한반도가 긴급한 위기 상황에 봉착했다고 강조하면서도 북한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중국과 협력하는데 합의했다. 중국 측은 북한과의 대화 재개가 우선이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