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신 인도로”… 道, 통상촉진단 파견

사드 보복·美 보호무역주의 맞서 수출시장 다변화 나서

경기도 유망 수출기업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중국의 사드 통상제재 등에 맞서 구매력 세계 3위, 13억 인구의 인도 시장 공략에 나선다.

 

도는 오는 25일까지 중소기업 10개로 구성한 인도 통상촉진단을 인도에 파견한다고 20일 밝혔다.

 

통상촉진단 참여기업은 ㈜가온테크, 대덕피앤피, ㈜비투비즈, 삼명텍, ㈜에프엔피케미칼, ㈜제이푸드서비스, ㈜코멕스산업, 주식회사 태상, 프로빅스, ㈜현대의료기 등이다.

 

이들 업체는 수출준비도, 수출실적, 해외 규격인증 및 국내특허 취득, 현지 시장성, 공공기관 인증서 등을 고려해 선정됐으며, 주요 참가품목은 전기전자, 건축자재, 의료기기, 생활용품, 식품 등이다.

 

이들은 21일 인도의 경제수도 뭄바이, 23일 인도 남부 중심도시 방갈로르에서 현지 바이어를 상대로 수출 상담을 하고 현지 시장조사를 할 예정이다.

 

도는 유망 수출품목 발굴, 상담장 및 차량 임차, 현지 바이어와의 상담주선, 통역 지원 등 수출상담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들을 지원한다.

 

인도 경제는 매년 5~6%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인도 정부는 지속적인 경제개혁 조치 발표를 통해 외국인 투자유치 및 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인도는 글로벌 기업의 투자 감소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일반적 조세회피방지규정(GAAR) 시행을 오는 4월 1일로 연기하고 소매유통시장 개방(단일 브랜드 100%, 멀티브랜드 51% 허용), 항공 및 전력거래 외국인 투자허용, 보험 및 연금에 대한 외국인 투자규정을 완화함으로써 경제개혁과 더불어 내수 시장 진작을 도모하고 있다.

 

이소춘 도 국제통상과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중국의 사드관련 통상제재 등 글로벌 무역여건이 어려워지는 상황이다”며 “도는 신흥시장과 미래 성장시장 개척 등을 통해 수출시장 다변화를 도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의 경영컨설팅사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은 인도의 멀티브랜드 소매업 개방 결정에 따라 앞으로 3년간 160억 달러의 외국인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일형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