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안철수-박주선, 대선 전 개헌투표 등 놓고 격돌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 박주선 국회부의장이 20일 대선주자 합동토론회에서 저마다 정책 구상을 발표하며 대선후보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대선 때 개헌투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대선 때 개헌, 안철수·손학규-반대, 박주선은-찬성

대선주자들은 더불어민주당을 제외한 3당이 추진하는 ‘대선 때 개헌투표’에 대해 엇갈린 입장을 드러냈다.

 

안 전 대표는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과 국민의 공감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들어 반대 뜻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저는 ‘내년 지방선거 때 함께 치르는 게 바람직하다, 만약 그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국민의 심판을 받고 선거에서 패배할 것’이라고 말씀드렸다”고 설명했다.

 

손 전 지사도 “대선을 바로 앞두고 대선과 함께 개헌안을 국민투표에 부치자는 건 현실적이지 않다”며 “개헌특위에서 개헌안을 만들고 다음 대통령이 개헌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반면 박 부의장은 “대통령 탄핵의 교훈은 더 이상 패권세력이 권력을 남용해 패거리만 살찌우는 나라를 만들어선 안 된다는 것”이라며 “우리가 노력하면 가능하다. 국회에 제안된 이후 40일이면 충분히 국민투표를 부쳐서 통과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사드 배치 둘러싸고 이견

사드 배치와 관련, 안 전 대표는 “국가 간 합의는 다음 정부에서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권 간 합의가 아니라 국가 간 합의이고 연속성이 있어야 외교가 지장없이 수행될 수 있다”면서 “북핵이 대한민국 안보에 가장 중요한 문제이고 안보를 위해선 미국이 동맹국과 함께 협력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중국에 이해시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부의장도 “국가 간 합의이기에 무조건 받아들인다는 게 아니라 북한의 핵개발이 계속되고 있어 우리 국토 안전과 영토 보존을 위해 사드 배치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에 적극적으로 동참했으면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손 전 지사는 찬반을 떠나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을 강조하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사드는 이미 배치가 됐다. 문제는 사드가 배치된 것을 어떻게 하느냐는 것”이라며 “한반도에서 전쟁은 안 되며 평화적 해결책을 강구해야 한다. 정부는 미국과 중국을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고 미국과 북한이 같이 협의할 수 있도록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강해인·송우일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