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극심한 저 출산율이 문제다.
선진국 클럽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도 꼴찌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국가 경쟁력 확보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경쟁력 약화는 2%대 중반도 버거운 경제성장률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로 경제성장율은 전 세계 110위권 수준이고 OECD 회원국 중에선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상태다.
20일 미국 중앙정보국(CIA) ‘월드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 따르면 지난해 추정치 기준으로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25명으로 세계 224개국 중 220위로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한다. 전 세계에서 한국보다 합계출산율이 낮은 국가는 4곳뿐이다.
싱가포르가 0.82명으로 224위로 꼴찌였고 마카오가 0.94명으로 223위, 대만이 1.12명으로 222위, 홍콩이 1.19명으로 221위였다. 공교롭게도 아시아권이 최하위권을 형성했다.
합계출산율 1위는 아프리카 국가 니제르로 6.62명이었다. 하지만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OECD 35개 회원국 중에서도 꼴찌로 나타났다.
일본은 1.41명으로 210위였고 북한은 1.96명으로 125위, 중국은 1.60명으로 182위에 그쳤다.
이스라엘은 2.66명으로 OECD 회원국 중 1위였고 전 세계 순위는 73위였다.
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