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올해 양파 수확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면 제때 양파 노균병을 방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양파 노균병은 크게 1차와 2차로 구분하는데, 1차 노균병은 월동 전 모종을 기르는 동안 본 밭에서 감염돼 이듬해 2∼3월에 발생하고 2차 노균병은 4월에 주로 발생한다.
양파 노균병균은 이미 월동한 양파 잎에서 발견돼 월동 뒤 노균병 방제용 살균제를 처리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2차 노균병은 주로 4월 중ㆍ하순부터 잎에 얼룩병반이 발생해 피해를 주기 때문에 월동기 이후 제때 약제 방제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파 노균병 포자는 2∼3월 5일간의 평균 기온이 8∼10℃일 때 일시적으로 발생하다가 4월 상순 이후부터는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4월 상순 첫 방제를 시작으로 7일 간격으로 3회 방제하면 이병주율(병에 걸린 식물체의 비율)이 1.3%, 포자발생주율 0.01%, 이병엽률 8.4%로 나타났다.
이는 방제를 하지 않았을 때의 이병주율 31.3%, 포자발생주율 17.4%, 이병엽률 51.6%보다 효과적이었다. 약제 처리시기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4월 하순 이후 늦게 방제할 때는 방제 효과가 낮았다.
권영석 농촌진흥청 농업연구관은 “양파노균병 상습발생지의 경우 이미 1차 노균병 방제는 불가능하나 2차 노균병균은 약제 방제가 가능하므로 방제 계획을 세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선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