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주민공청회도 없이 추진” vs 부천시 “상생 논의 검토”
소상공인 상권 침해 논란을 빚고 있는 경기도 부천 상동 복합쇼핑몰 건립사업 논란이 인천시·부평구와 부천시 간 지자체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상당부분 생활권이 겹치는 부평구와 부천시의 행정갈등이 확산될 경우 애꿏은 주민들만 피해를 입을 우려도 제기된다.
인천시·상인연합회 등으로 구성된 ‘부천 신세계복합쇼핑몰 입점 저지를 위한 민관 대책협의회’는 23일 부천시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천시가 신세계 컨소시엄 측과 토지 매매계약 강행을 비난했다. 이들은 상동 복합쇼핑몰 건립사업이 주민공청회 한 번 거치지 않고 상업성만 우선시 한다며 사업 즉각 철회를 주장했다.
이 자리에서는 홍미영 부평구청장과 임지훈 부평구의장이 공동으로 ‘부천시민, 부천시장, 부천시의회에 드리는 글’을 발표, 사업 강행시 지자체간 갈등으로 비화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더욱이 부평가족공원 내 화장장 시설의 부천시민 사용, 부천 호수공원 공동조성, 송내역 인근 가스충전소 허가문제 등 그동안 이뤄진 양 지자체 협력사업을 언급하며 부천시에 대한 불편함을 숨기지 않았다.
임지훈 구의장은 “지난 2010년 이후 부평과 부천의 앞 글자를 딴 ‘부부도시’라는 애칭에 걸맞게 서로 상생했던 두 도시가 재벌들의 초대형 쇼핑유통건물 입점문제로 치명적인 상처를 입히고 입어야 할 처지에 이르게 돼 안타깝다”며 “부천시는 그동안 신세계 측과 수십차례 사업계획을 논의하는 동안 부평구에 단 한번도 논의에 참여할 기회를 주지 않았다. 국회에서 유통법이 개정될 때 까지만 부지계약 체결을 늦춰줄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부천시 측은 인천시와 부평구, 소상공인들의 상권위축 우려를 받아들여 이마트레이더스와 복합쇼핑몰 건립을 제외하고 백화점 중심의 사업계획으로 변경한 만큼 사업 추진에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부천시 관계자는 “인천시와 부평구의 뜻을 받아들였음에도 사업추진을 원천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지자체간 상생을 무시한 처사”라며 “토지 매매계약 체결 이후의 상생논의는 검토할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부평구는 부천시가 신세계 측과의 토지매매계약을 강행할 경우 시민단체들이 제기할 가능성이 높은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등 소송에 법률자문에 나서는 등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또 인천시와 협의를 거쳐 부천시민들이 이용하는 부평가족공원 화장장 시설 이용문제에 제동을 걸 계획까지 갖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한편, 대책협의회는 이날 규탄 기자회견 이후 부천시청에서 토지 매매계약 체결에 반대하기 위한 농성을 진행 중이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