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대선 D-42… 맞춤형 공약도 찾기 어려워
호남 비해 방문 횟수 적어 ‘정치적 변방’ 취급
‘5·9 장미 대선’을 40여 일 앞두고 정당별로 대선 후보경선 레이스가 막바지에 이르고 있지만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선거인을 가진 경기지역은 여전히 대선주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2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경기도는 지난 17대 대선부터 선거인 수가 가장 많은 광역지방자치단체가 됐다.
지난 16대 대선에서 경기지역 선거인수는 694만 4천934명으로 서울(767만 682명)보다 적었지만 17대 대선에서는 822만 2천124명으로 늘어 서울(805만 1천696명)을 추월했다. 18대 대선 때에는 935만 8천357명으로 무려 전국(4천46만 4천641명)의 23.1%를 차지했다.
하지만 본보가 각종 여론조사에 포함된 주요 대선주자 1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일부터 이날까지의 공식 일정을 분석한 결과, 경기지역을 찾은 날은 평균 3.8일에 불과했다.
남경필 경기지사(주요 도정 점검회의 등 도정 일정 제외)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가 7일로 가장 많았으며 이재명 성남시장과 경기도에 지역구(고양갑)를 둔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5일로 선두권을 차지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 문재인ㆍ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4일),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ㆍ안희정 충남지사ㆍ국민의당 박주선 국회 부의장(2일) 순이었다. 다른 주자들보다 뒤늦게 대선 레이스에 뛰어든 홍준표 경남지사는 아직 공식적으로 경기지역을 방문하지 않았다.
반면 선거인 수가 412만 8천591명으로 경기도의 절반에 못 미치는 호남일정은 평균 6.7일에 달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ㆍ국민의당 관계자들은 “순회경선 일정이 당의 심장부인 호남에서 시작됐기 때문에 초반 승기를 잡으려면 호남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전일 일정으로 방문하는 영ㆍ호남 일정과 달리 경기지역 일정 대부분 여성ㆍ청년ㆍ노동자ㆍ참전용사 등을 겨냥한 부분적인 현장 간담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나 ‘수박 겉핥기식’ 방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종합적인 경기지역 맞춤형 공약은 아직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대선주자들은 경기지역에서 열리는 행사에는 아예 참여를 하지 않거나 참여하더라도 특정지역 챙기기에 급급한 모양새다.
실제 지난 21일 국민의당 경기도당에서 열린 ‘경기도당 대선기획단’ 출범식 당시 손 전 지사와 안 전 대표는 ‘호남행’을 택했다.
그나마 대선주자 중 유일하게 참석한 박 부의장도 “누가 뭐라고 해도 우리나라 대정치의 핵심은 영남과 호남이다. 제가 후보가 되려면 호남에서 밀어줘야 한다”며 ‘호남 예찬론’을 주장했다.
앞서 민주당 경기도당은 지난달 17일 수원시 팔달구에서 사무실 이전 개소식을 열고 대선 승리 의지를 피력했지만 대선주자들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대해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경기지역 표심이 영ㆍ호남에서 일어난 바람에 의해 좌우된다는 생각이 경기도를 정치적 변방으로 만들고 대선주자들의 발길도 상대적으로 뜸해지는 것”이라며 “경기도 유권자들이 바람에 휘둘리지 않고 대선주자들의 정책을 투표 기준으로 삼아야 후보들도 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우일ㆍ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